아주경제 강영관 기자 = 30대 내집마련 수요층이 다른 연령대보다 상대적으로 빚을 더 많이 내는 것으로 나타났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국민·신한·우리·하나 등 4대 시중은행의 주택담보대출 가운데 39세 이하의 대출 잔액은 지난해 2월 44조4000억원에서 올해 2월엔 54조8000억원으로 1년 새 23.6% 증가했다. 이는 40대의 주택담보대출 잔액 증가율(11.6%)은 물론 50대(7.9%)와 60대 이상(7.7%)의 증가율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39세 이하의 대출 잔액이 크게 늘면서 이들의 대출금이 전체 주택담보대출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20.7%에서 22.7%로 2.0%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에 50대의 비중은 28.9%(61조9천억원)에서 27.7%(66조9천억원)로 감소했고, 60대 이상의 비중은 16.1%(34조5천억원)에서 15.4%(37조2천억원)로 줄었다. 40대 비중은 34.3%(73조6천억원)에서 34.1%(82조2천억원)로 약간 감소하는 데 그쳤다.
이런 변화는 전세난에 지친 30대의 젊은층이 저금리 시대를 맞아 '생애 첫 주택' 구매자금으로 은행돈을 많이 빌렸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최근 몇 년간 주택담보대출의 연령별 비중 추이를 보더라도 30대의 대출 증가는 매우 이례적이다. 한국은행이 지난해 10월 발표한 금융안정보고서를 보면 주택담보대출(금융권 전체 기준)에서 50대와 60대 이상이 차지하는 비중은 2009년 말 26.9%, 15.1%에서 2014년 3월 말 31.0%, 19.7%로 각각 증가했다.
반면에 30대가 차지하는 비중은 20.6%에서 15.3%로 크게 감소했다. 작년 초까지만 해도 주택담보대출은 50대와 60대 이상을 중심으로 늘었던 것이다.
30대의 부상을 두고 주택시장에 영향을 미치는 주력 세대가 젊은 세대로 바뀌는 구조변화가 일어나는 것 아니냐는 관측이 조심스레 나오고 있다.
박원갑 국민은행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그동안 베이비부머 세대의 은퇴에 따른 주택시장의 수요 공백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컸는데 젊은 세대의 주택구입은 주택시장이 경착륙하는 것을 막는다는 점에서 다행스러운 일"이라고 했다.
다만 향후의 금리인상 등 외부 변수에 주택시장이 취약해질 수 있어 자금 여력이 탄탄하지 않은 30대가 무리하게 집을 샀을 가능성이 크다는 점은 주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