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4/06/20150406090617939492.jpg)
세월호 참사 1주기를 앞두고 추모 소설집 '우리는 행복할 수 있을까'(예옥)가 출간됐다. 소설가 심상대· 전성태·방민호를 비롯해 이평재·이명랑·권영임·김신·손현주·한숙현·김산아·김은 등 15명의 작가가 참여했다.
추모 산문집 '눈먼 자들의 국가'와 시집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가 출간된 적이 있지만 소설집 발간은 처음이다.
산문집·시집 발간과 마찬가지로 이번 소설집도 세월호 참사에 대한 진상 규명과 재발방지를 위한 '문학적 행동'의 연장 선상에서 기획됐다.
소설집은 세월호 참사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부분뿐 아니라 한국 사회의 문제를 성찰적으로 살필 수 있는 내용까지 포괄했다.
"내가 어른이기 때문이며 부끄러웠기 때문"이라고 창작이유를 밝힌 심상대는 단편 '슬비야 비가 온다'를 통해 친구와 헤어져 십대를 보내는 아이들의 이야기를 엮었다.
소설은 세월호 참사의 희생자인 슬비와 같은 고등학교를 나온 직접적으로 인연을 맺은 인물들이 그녀를 그리워하고, 추모하는 이야기를 담았다. 반면, 전성태의 '가족 버스'는 어머니의 장례라는 내밀한 아픔을 통해 세월호의 비극을 환기한다.
시인이자 교사인 '나'는 어머니를 떠나보내는 중이다. 발인과 화장을 거쳐 장지로 향한다. '엄마'를 보내며 나는 힘겨웠던 시절을 떠올린다. 남편과 이혼했고, 우울증에 빠졌으며 그런 개인적인 고통 탓에 치매에 빠진 엄마를 제대로 돌보지 못했다.
슬픔과 구분키 어려운 죄책감이 장례가 진행될수록 차오를 즈음, 딸 지민과 조문온 딸의 친구 소현과 자영은 장례를 마치고 나서 진도 팽목항에 가겠다고 말한다. 대학에 간 후에 가보라는 '나'의 말에 지민은 말한다.
"눈 가려서 우리를 보호하려고 하지 마. 지금 참으라고 하면 다음이 돼도 참고 살 거야. 참고, 참고, 참는 그런 어른이 되고 말 거야."
소설가 윤후명은 "이 소설집은 또 하나의 ‘죽음의 집의 기록’이다. 맹골수도의 바닷길 그 밑 끝없는 어둠 속에 가라앉은 한 척의 배, 그 속에 갇혀 있는 아우성을 듣는다. 아우성은 기도가 되어 들려오지만 듣는 귀는 다만 무력할 뿐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어둠 속에 갇혀 있다. 그러므로 우리는 기록하지 않으면 안 된다. 또 하나의 ‘죽음의 집의 기록’을 남기지 않으면 안 된다"고 추천사를 썼다.
작가들은 세월호 1주기 추모 낭독회를 개최할 예정이며 유족회에 소설집을 기증할 계획이다. 판매 수익금은 세월호 참사를 기억하고 증언하며 기록하는 사업에 사용된다. 418쪽. 1만5000원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