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은 지난 18일 새벽 아버지 김정일의 원수 칭호 수여일(4.20)을 앞두고 황병서 군 총정치국장, 최룡해·김양건 노동당 비서, 리재일·리병철 당 제1부부장과 백두산에 올랐다.
백두산은 김일성-김정일-김정은으로 이어지는 이른바 '백두혈통'의 상징으로, 김 제1위원장은 집권 이래 '장성택 처형' 결정 등 주요 계기 때마다 백두산에서 3대세습 체제를 고수하겠다는 의지를 과시했다.
김 제1위원장의 이런 정치적 행보를 공식 수행한 이들 5인방은 김정일 3년 탈상 후 본격적인 김정은 체제가 시작된 현 시점에서 그가 가장 신임하고 국정 운영 전반을 논의하는 핵심 실세임을 보여준다.
황병서는 '선군정치'의 군을, 최룡해는 내치, 김양건은 대외정책 전반, 리재일은 선전선동, 리병철은 군사 전반을 관장할 것으로 보인다.
그중 황병서와 최룡해는 김정은 체제를 이끄는 '쌍두마차'라 할 수 있다.
이들은 장성택 숙청 이후 지난 1년간 2인자 자리를 두고 수차례 엎치락뒤치락했지만 서서히 안정을 찾아가는 김정은 체제의 양대 핵심으로 자리했다.
황병서는 지난해 당 조직지도부 제1부부장에서 군 총정치국장에 오른 이후 정치국 상무위원과 국방위원회 부위원장 등 핵심 직책을 모두 꿰찼다.
군 총정치국 조직부에서 젊은 시절을 보낸 그는 2005년부터 노동당 조직지도부 부부장으로 군을 관장하며 '고영희 아들 후계자 만들기'에 일조한 인물이다.
결국 황병서는 김정은 제1위원장의 공고한 군 장악을 위한 대리인인 셈이다.
최룡해는 비록 황병서에 밀려 정치국 상무위원 자리에서 물러났지만, 총리 다음가는 서열을 유지하고 있다.
김정은 체제 출범 당시 군 총정치국장으로 군을 '김정은의 군대'로 만드는데 기여한 그는 군복을 벗은 후 김정은 체제의 노동당을 이끄는 실권자가 됐다.
한 대북소식통은 "최룡해가 비록 황병서에 공식 서열이 밀렸지만 실제 핵심 그룹의 리더나 다름 없다"며 "장성택이 생존 시 공식서열에 무관하게 정권의 2인자로 활약했던 것과 마찬가지"라고 주장했다.
김양건은 외교와 대남 등 대외정책 전반을 총괄한다.
김정일 시절부터 당 국제부장과 대남사업을 관장해온 그는 지난해 인천아시안게임 폐막식에 황병서, 최룡해와 함께 다녀갔다.
당 국제부장으로 대 중국 외교를, 통일전선부장으로 대남업무를 도맡아온 만큼 한반도 정세를 총괄적으로 파악해 북한의 외교정책을 세우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리재일은 향후 김정은 체제의 선전선동 업무를 맡을 것으로 보인다.
북한 3대 세습 체제의 우상화 선전선동을 총괄해온 원로한 김기남 선전선동비서가 최근 주석단에서 밀려나는 등 위상에 변화를 보여 리재일의 행보는 더욱 눈길을 끈다.
리재일은 지난해 9월 선전선동부 간부들이 대거 숙청되는 와중에서도 김 제1위원장의 공개활동을 밀착 수행했다.
김정은의 자동차 운전과 권총 사격 등 김정은 우상화 교육내용은 신문사 기자와 출판지도국장 출신인 그의 손에서 모두 나온다고 할 수 있다.
리병철은 공군사령관 출신으로 김정은 체제에서 일약 급부상한 실세다.
그는 현직 공군 사령관으로는 처음으로 국방위원에 오른 인물로 지난해 당 제1부부장으로 자리를 옮긴 이후에도 국방위원을 유지하고 있다. 김 제1위원장의 막강한 신임을 받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이들 5인방 중 2013년 11월 말 장성택 처형을 결정하기 위해 김 제1위원장이 백두산 삼지연군을 찾았을 때 수행했던 인물은 김양건과 황병서 2명 뿐인 것으로 미뤄 실세의 변화를 엿보게 한다.
당시 수행자는 이들 외 김원홍 국가안전보위부장, 한광상 당 재정경리부장, 박태성·김병호·홍영칠·마원춘 당 부부장이며 이들 중 김병호와 마원춘은 좌천 등으로 공개석상에 모습을 보이지 않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