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악산 비경이 파노라마처럼 펼쳐지다…권금성
마치 하늘과 맞닿은 듯 아찔하게 솟아 있는 권금성은 설악산의 주봉인 대청봉에서 북쪽으로 뻗은 화채능선 정상부와 북쪽 산 끝을 에워싸고 있는 천연의 암벽 요새지다.
옛날 권씨와 김씨 일가가 몽골의 침입을 피해 피난을 가던 중 다다른 산꼭대기에는 성이 없어서 적병과 싸우기에는 너무 어려운 상황이었다.
권금성 건립에 관한 전설이 믿지 못할 내용인지라 우스갯소리로 치부할 수 있겠지만 지역 주민들은 설악산 아래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돌들이 권금성 주변에서 발견됐다며 여전히 권금성 전설을 굳게 믿고 있다.
해발 700m가량의 아찔한 높이를 자랑하는 권금성은 설악산국립공원 소공원에서 케이블카로 연결돼 10분 정도면 도착할 수 있어 남녀노소 누구나 찾기에 불편함이 없다.
정상에 오르면 동쪽으로는 푸른 비단을 깔아놓은 듯한 동해가 한눈에 들어오고 서쪽으로는 금강산으로 떠나다 수려한 경관에 취해 자리를 잡았다는 울산바위가 병풍처럼 펼쳐진다.
권금성에 오르지 않고는 설악의 참맛을 제대로 보지 못했다고 할 정도로 전망이 좋아 관광객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 곳이기도 하다.
◆붉게 떠오르는 일출의 감동이 고스란히…영금정 해돋이 정자
동명항의 끝자락 영금정을 보러온 사람들은 대개 바다를 마주하는 암반 위 구름다리 끝에 세워진 이 정자를 찾는다.
경관이 아름답고 아침에는 아름다운 일출까지 볼 수 있어 출사지로도 유명하다.
하지만 속초의 절경으로 알려진 영금정은 본래 바다를 바라보는 커다란 바위산의 이름이었다. 일제강점기 속초항 축항 공사를 하면서 석재로 대부분을 파내는 바람에 너럭바위가 됐다고 한다.
파도가 거대한 석산 벽에 부딪치면 신묘한 음곡이 들려 왔고 이 소리가 마치 신령한 ′거문고′ 소리처럼 들린다고 하여 그 바위의 이름이 영금정이라 붙여졌고 그 바위 위에 '영금정'이란 현판을 단 지금의 정자를 세우게 됐다.
동이 트기 전 검푸른 동해, 바위에 부딪혀 부서지는 파도 소리에 취하고 사시 사철 일출을 보기 위해 많은 사람들이 이곳 영금정을 찾곤 한다.
지금은 신비한 거문고 소리는 들을 수 없지만 저 멀리 밀려드는 파도의 자태, 저 멀리서 떠오르는 일출의 장엄한 광경은 여전히 아름답다.
◆실향민의 애환이 서리다…아바이 마을
속초시 청호동은 지난 1954년 수복이후 함경도 피난민들이 자리잡아 ‘아바이 마을’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급히 피난 나온 터라 빈 손이었던 그들에게 속초는 고향에 갈 날까지 입에 풀칠할 일거리가 많은 곳이었다. 남자는 고깃배 타고 나가서 어부로 일하고, 아낙네들은 포구로 돌아온 고깃배 그물에서 생선 들을 떼어내며 어려운 시절을 이겨냈다.
이처럼 이곳에서는 어려웠던 1970년 전후 시대를 살아온 우리 부모님들의 고단하지만 억척스런 삶의 흔적을 곳곳에서 발견할 수 있다.
아바이마을은 지난 2000년 드라마 ‘가을동화’의 배경지가 되면서 부터 유명세를 떨치기 시작했다. 여기에 한류열풍까지 일면서 아바이마을은 국제적 명성을 얻게 됐다.
동해와 청초호에 둘러 싸여 있는 이곳은 무동력 운반선인 갯배도 가을동화를 통해 덩달아 유명해졌다.
아바이마을이 마을의 형태를 갖추기 시작한 70년대 이전에는 밖에서 문을 열면 바로 안방이 나오고 부엌이 보이는 판잣집이 다닥다닥 붙어 있었지만, 가슴 아픈 실향민들의 사연으로만 돌아보기에 현재 아바이마을의 모습은 꽤나 평화롭고 정감 넘친다.
갯배를 타고 오가는는 많은 사람들의 목소리를 자장가 삼아 골목에서 늘어지게 한 잠 자는 동네 강아지들의 모습이 흐뭇한 미소를 짓게 하고 시끌벅적한 아낙네들의 웃음 소리는 경쾌한 노래소리로 들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