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시전형이 점차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단순히 뽑는 인원이 많다고 수시에만 집중할 경우에는 낭패를 볼 수 있다.
우선은 수험생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고 수시형인지 정시형인지를 판단하면서 양 전형에 모두 신경을 쓸 필요가 있다.
현재 수시와 정시의 모집비율은 6:4 정도가 된다.
수시의 경우에는 평소 내신 관리를 잘 한 학생의 경우 유리할 수밖에 없다.
성실한 모범생 스타일인 경우에는 수시에 집중하고 막판 승부욕을 가지고 집중력을 발휘해 시험 성적을 올릴 수 있는 스타일이라면 정시에 집중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정시는 일종의 패자부활이 가능한 전형이다.
내신이 좋지 않더라도 막판 벼락치기 학습을 통해 대학수학능력시험 점수를 높일 수 있는 구조다.
EBS 수능 70% 연계 정책으로 교재를 중심으로 막판 집중해 공부한다면 성공이 가능하다.
지방의 사교육 여건이 좋지 않은 지역에서도 EBS 교재를 기본으로 수능 준비에 집중한다면 정시에서 승부를 볼 수 있는 것이다.
교육 격차 해소를 위해서도 수시 모집의 확대에는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다.
수시 전형을 위한 서류와 면접을 진행할 대학의 자원도 한정돼 있어 마냥 늘릴 수도 없는 노릇이다.
수시에서 100%를 뽑는 포항공대 같은 곳도 있기는 하지만 여전히 대학들은 우수 학생을 뽑기 위해 정시전형을 유지하고 있다.
수능을 준비하는 수험생들을 위해서도 정시의 축소는 한계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내신이 좋은 경우 수시, 모의고사 성적 등 시험에 강한 경우 정시에 집중하는 것이 맞지만 수시에서도 수능최저학력기준을 적용하는 곳이 많아 수시에 집중하더라도 수능을 소홀히 할 수는 없는 구조다.
한양대와 같이 수능 최저학력기준을 폐지하는 곳이 늘어나고 각 대학에서도 최저기준을 완화하고 있지만 여전히 적용하고 있는 곳이 많은 상황이다.
수능 최저기준이 없어졌다고 해서 단순히 유리하다고 볼 수도 없다.
내신이 좋고 모의고사 성적이 잘 안나오는 수험생의 경우에는 최저기준이 없는 것이 좋겠지만 내신도 좋은 일반고 학생이 모의고사 성적도 잘 나오는 경우에는 최저기준이 있는 것이 오히려 유리하다.
오종운 종로학원하늘교육 평가이사는 “수능 점수가 어느정도 나오고 논술성적도 괜찮은 수험생에게는 수능 최저기준이 있는 것이 오히려 유리하다”며 “ 때문에 본인의 상황에 맞게 전형의 유불리를 잘 판단해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