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홍성환 기자 = 위축된 소비심리가 다시 살아날 조짐을 보이고 있다.
24일 한국은행이 발표한 '4월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달 소비자심리지수(CCSI)가 104를 기록, 전달보다 3포인트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소비자심리지수가 100을 웃돌면 소비심리가 장기 평균치보다 낙관적인 것을 뜻한다.
지난해 9월 107이던 소비자심리지수는 같은해 12월 101로 하락한 이후 오르내림을 거듭하다가 이달 들어 다시 상승세로 돌아섰다.
소비자심리지수를 구성하는 세부 항목에서도 긍정적인 신호가 발견되고 있다.
실제로 가계의 재정상황에 대한 인식을 드러내는 현재생활형편, 생활형편전망, 가계수입전망 지수 모두 각각 2포인트씩 올랐다. 다만 소비지출전망지수는 보합이다.
가계의 경제상황에 대한 인식을 보여주는 현재 경기판단지수와 향후 경기전망지수도 전달 대비 각각 5포인트, 3포인트씩 상승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정부의 경제활성화 정책과 최근 경기 관련 지표의 개선, 주택·주식시장 회복으로 가계의 경제상황에 대한 긍정적 인식이 늘어난 것이 소비자심리지수 개선으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소비심리가 소폭 개선된데 반해 물가수준전망 지수는 129로 전월 대비 1포인트 하락했다.
특히 주택가격전망 지수는 최근 주택거래 활성화 영향으로 지난 2월 118에서 3월 123으로 5포인트 올랐으나 이달 들어 다시 1포인트 떨어졌다.
앞으로 1년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을 나타내는 기대인플레이션율은 2.5%로 전달에 이어 역대 최저치를 이어갔다.
한국은행이 지난 3월 기준금리를 연 1.75%로 0.25%포인트 인하했지만 두 달간 소비자들의 물가상승 기대치에는 변화가 없었던 꼴이다.
기대인플레이션이 높아지면 경제주체들이 소비와 투자를 늘리는 경향이 있지만, 반대로 낮아지면 소비와 투자에 나서지 않는 모습을 보인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