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파생상품 총 거래규모(명목금액 기준)는 4경3649조원으로 전년보다 16.3%(8496조원) 줄었다.
파생상품 거래규모는 2011년 8경2949조원을 기록했다. 그 후 2012년 6경564조원, 2013년 5경2145조원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다. 총 거래잔액은 7496조원으로 전년에 비해 8.6%(592조원) 증가했다.
장내파생상품 거래규모는 3경2874조원으로 전년보다 18.1%(7250조원) 감소했다. 코스피200 변동성 축소 등으로 주식관련 선물과 옵션거래가 각각 49.4%와 10.6% 감소한 데 따른 것이다.
실제 증권사의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 비중은 2013년 6.9%에서 2014년 7.7%로, 거래잔액 비중은 같은 기간 10.0%에서 11.5%로 늘었다.
기초자산별 파생상품 거래규모는 주식관련 파생상품(63.1%), 통화관련 파생상품(20.4%), 이자율관련 파생상품(16.4%) 순이었다.
주식관련 파생상품 거래규모는 2경7564조원으로 15.2%(4948조원) 감소했다. 특히 주식선물·옵션거래는 주가지수 변동성 축소 등에 따른 투기·차익거래 감소로 15.3%(4962조원) 줄었다.
이자율관련 파생상품 거래규모는 7142조원으로 25.6%(2460조원), 신용관련 파생상품 거래규모는 23조원으로 43.7%(17조9000억원) 각각 감소했다.
통화관련 파생상품 거래규모는 8889조원으로 10.7%(1068조원) 감소했다. 하지만 위안화를 계약통화로 한 장외파생상품 거래규모는 69조8000억원으로 273.3%(51조1000억원) 늘었다.
기초자산별 거래잔액은 이자율관련 파생상품(64.9%), 통화관련 파생상품(32.0%), 주식관련 파생상품(2.0%) 순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