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FTS를 유발하는 작은소참진드기는 일반적으로 집에 서식하는 집먼지 진드기와 달리 주로 숲과 들판, 시가지주변 등 야외에 서식하며 전국적으로 분포돼 있다.
작은소참진드기를 검사한 결과 이 가운데 극히 일부인 1%이하에서 SFTS 바이러스에 감염된 것으로 파악되고 있어 진드기에 물렸다고 하더라도 실제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에 걸릴 확률은 낮은 것으로 파악된다.
야외활동이 많아지는 4월부터 11월 사이에 발생하는 중증열성혈소판감소증후군의 잠복기는 평균 6~14일이며 고열, 구토, 설사, 출혈, 혈소판 감소 등의 증상을 보인다. 증상이 발생한 후에는 특별한 치료제가 없으므로 예방이 중요하다.
일산동구보건소 관계자는 “야외활동시는 토시를 착용하고 기피제를 작업복 위에 살포하면 예방에 도움이 되며 진드기에 물렸거나 의심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병·의원에 내원해 의사의 진찰을 받아야한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