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6·15 공동선언 발표 15주년 기념행사는 서울에서 개최한다는 것에는 구두 합의했지만 8·15 광복 70주년 기념행사 개최 장소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합의하지 못했다고 '광복70돌, 615공동선언 발표 15돌 민족공동행사 준비위원회(이하 광복70돌 준비위원회)'가 8일 밝혔다.
광복70돌 준비위원회가 이날 발표한 공동보도문에는 6·15 공동선언 발표 15돌이 되는 6월15일부터 광복 70돌인 8월15일까지를 제2의 6·15통일시대를 열어나가기 위한 '6·15~8·15 공동운동기간'으로 정했다.
그러나 남북 공동행사 개최 장소를 놓고 남북 준비위가 견해차를 보여 공동보도문에는 개최 장소가 명시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와 관련, 광복70돌 준비위원회 남측 준비위는 "6·15 공동행사는 평양에서 할 가능성도 물어보고 의논했지만 결국 서울에서 하기로 잠정 결론내렸다"고 밝혔다.
하지만 8·15 기념행사 개최 장소에 대해서는 명확한 언급을 피했다.
이승환 광복 70돌 준비위 대변인은 "8·15 행사가 가진 무게중심이 워낙 크기 때문에, 다양하게 개최하는 걸로 논의를 폈다"며 "합의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행사를 크게 하는 걸로 하고, 구체적인 사항은 앞으로 논의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 대변인은 또 "북한측에 광주 하계유니버시아드(U대회)에 응원단 파견을 제안했고, 이에 대해 상당히 긍정적인 답변을 받았다"며 "우리가 받은 느낌으로는 특별한 문제가 없는 한 파견할 것 같다"고 덧붙였다.
이 대변인은 아울러 광주 U대회 성화를 백두산에서 채화해 무둥산까지 봉송하는 방안과 남북 대학생들의 유적 답사 교류 방안 등에 대해서도 북측과 상당한 합의를 봤다고 설명했다.
광복70돌 준비위원회 측은 이달 중·하순께 개성이나 판문점에서 다시 만나 세부 사항을 논의하는 실무접촉을 할 계획이다.
임병철 통일부 대변인은 "이 행사가 어디에서 개최될지는 앞으로 남북 간에 계속 협의가 이뤄져야 하는 부분"이라며 "정부는 문화, 학술, 체육 등 민족동질성 회복과 남북관계 발전에 도움이 되는 민간교류는 허용한다는 취지 아래 승인 여부를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앞서 남북 및 해외 준비위는 지난 5~7일 중국 선양(瀋陽)에서 광복 70주년과 6·15 공동선언 15주년을 기념하는 민족공동행사를 개최하기 위한 사전 실무접촉회의를 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