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과 통계청이 13일 발표한 '2013년 국민대차대조표(잠정) 작성 결과'에 따르면 국가 전체의 부라고 할 수 있는 국민순자산은 2013년 말 기준 1경1039조원으로 나타났다.
이는 2012년(1조668조원)보다 3.5%(371조원) 증가한 수준이다.
한 해 벌어들이는 총소득을 나타내는 GDP에 견준 국민순자산의 비율은 전년에 이어 7.7배를 유지한 것으로, GDP 대비 국민순자산 배율은 2011년 이후 7.7배로 정체 현상을 보이고 있다.
이는 호주(5.9배), 캐나다(3.5배), 일본(6.4배·이상 3국은 2012년 기준) 등 주요 선진국보다도 높은 수준이다. 부동산 관련 자산의 가격이 상대적으로 높기 때문이라는 게 한은 측의 설명이다.
2013년 말 현재 토지자산이 국민순자산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53.0%(5848조원)로 전년보다는 0.7%포인트 줄었지만 여전히 과반을 차지했다.
여기에 전년보다 0.3%포인트 늘어난 건설자산 비중 35.7%(3942조원)를 더하면 부동산 관련 자산 비중은 국민순자산의 88.7%에 달한다.
2013년 말 현재 가계 및 비영리단체로 본 가구당(2.61인 기준) 순자산은 3억3085만원으로 추계됐다.
2011년 2.67인 기준 가구당 순자산은 3억1811만원, 2012년 2.64인 기준 순자산은 3억2563만원으로, 2013년 한 해 522만원이 증가한 것이다.
그러나 가계 및 비영리 단체의 보유자산 중 비금융자산의 비중은 64.7%로 미국(29.9%), 일본(39.9%), 캐나다(45.8%) 등 주요국과 비교할 때 여전히 매우 높았다.
선진국과 비교할 때 한국 가계 자산의 대부분이 부동산에 월등히 많이 묶여 있다는 의미다.
다만 이 비중은 2011년 66.6%에서 2012년 65.7%, 2013년 64.7%로 하락세를 나타냈다.
이는 2007년 이후 부동산 시장의 부진으로 GDP 대비 주택 시가총액의 배율이 2.2배 수준으로 횡보하는 모습을 보이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편 가계 및 비영리단체의 비금융자산 보유 비중은 2013년 44.3%로 2010년과 비교해 1.1%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비금융법인기업 및 일반정보의 비중은 이 기간 각각 0.5%포인트, 0.6%포인트 상승했다.
한은은 "소규모 자영업자의 생산활동이 위축되거나 부동산 시장이 상대적으로 부진할 경우 비금융자산 보유비중이 하락하는 경향을 나타낸다"고 설명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