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5/14/20150514094023303548.jpg)
국제교류복합지구 위치도.[이미지=서울시 제공]
아주경제 장기영 기자 = 서울 강남구 삼성동 한국전력 부지 일대 국제교류복합지구가 잠실종합운동장까지 확장됐다.
강남구 주민 5명 중 3명은 한전 부지 개발에 따른 공공기여를 강남구에 사용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서울시는 지난 13일 열린 제7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에서 ‘국제교류복합지구(코엑스~잠실운동장 일대) 지구단위계획 변경안’을 원안 가결했다고 14일 밝혔다.
이번 결정에 따라 구역 명칭은 기존 종합무역센타주변지구에서 국제교류복합지구로 바뀌고, 탄천과 잠실운동장이 구역에 포함됐다.
서울의료원 부지는 용도지역을 기존 제2종일반주거지역에서 준주거지역으로 변경하고, 업무시설과 전시장, 회의장 등 마이스(MICE)산업을 지원하는 기능을 용도 지정했다.
서울시는 지난달 8일 열린 제5차 도시‧건축공동위에서 같은 안건이 수정 또는 조건부 가결한 바 있다.
그러나 수정 및 조건 사항에 대한 주민과 관련 기관의 의견 청취 등 절차의 법적 안정성 강화를 위해 공람 및 심의절차를 다시 진행했다.
이번 공람 과정에서는 약 5000건의 주민의견서가 접수됐으며 이 중 한전 부지 개발에 따른 공공기여는 강남구에 사용해야 한다는 의견이 3000여건으로 가장 많았다. 지구단위계획구역 확장 반대 의견은 900여건, 봉은중 주변 강남구 내 다른 지역을 구역에 포함해야 한다는 의견은 300여건이었다.
이러한 의견은 도시‧건축공동위에 보고되고 일부 반영됐으나, 구역 확장 반대 의견은 미반영됐다.
서울시는 공공기여 관련 주민 의견에 대해 관련 법규에 따라 강남구 등과 협의를 거쳐 결정될 사항이라는 원칙적 입장을 밝혔다.
공공기여는 용적률 등 도시계획 변경으로 인한 개발밀도 증가에 따른 기반시설 정비와 토지주의 계획이득의 사회적인 기여를 의미한다.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 등 관련 법령에 따라 공공기여는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국제교류복합지구 조성과 관련된 기반시설 확충에 우선 사용한다. 지구단위계획구역 내 기반시설이 충분할 경우 자치구 기반시설 확충에 활용해 한전 부지 고밀도 개발에 따른 영향을 최소화하는데 사용된다.
김용학 서울시 동남권공공개발추진반장은 “코엑스부터 한전 부지, 서울의료원, 탄천을 넘어 한강을 포함한 잠실운동장 일대에 조성하는 국제교류복합지구는 지역 발전뿐 아니라 서울의 글로벌 경쟁력을 강화하는 핵심 사업으로 일자리 창출, 투자 활성화 등 큰 경제적 효과를 거둘 수 있다”고 말했다.
이어 “성공적으로 조성되면 강남구민이 혜택을 누리는 것은 물론, 서울의 도시브랜드 가치가 높아지고 나아가 국가경쟁력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되는 만큼 강남구민과 서울시민들의 협력과 지원을 부탁한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