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5/14/20150514201229742481.jpg)
성완종 리스트 파문으로 검찰조사를 받게 된 이완구 전 총리가 14일 서울 서초동 고등검찰청사로 들어서고 있다.[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검찰은 사건의 사회·정치적 파장, 국민적 관심 등을 염두에 두고 두 사람의 신병처리 방향과 처벌 시점을 고심하고 있다.
검찰은 리스트 8인 가운데 금품수수 혐의가 가장 구체적으로 드러난 두 사람에 수사력을 집중해왔다. 혐의를 뒷받침할 상당량의 진술과 정황 증거도 확보했다.
법조계 안팎에서도 그동안의 수사 성과를 고려할 때 검찰이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로 두 사람을 재판에 넘길 것이라는 데에는 별 이견이 없다.
검찰 내부에서는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에 대한 영장 청구 기준이 2억원이라는 점을 들어 홍 지사의 영장 청구에 회의적인 분위기가 우세하다.
검찰이 홍 지사를 불구속 기소하기로 가닥을 잡으면 다음 주중 홍 지사와 이 전 총리를 일괄 기소할 가능성도 있다.
검찰은 '박연차 게이트', '저축은행 비리' 등과 같이 고위 공직자들이 다수 연루된 대형 사건을 수사할 때 혐의가 인정된 이들을 비슷한 시점에 기소하고 수사 결과를 발표해왔다.
일각에서는 이번 주 속전속결로 두 사람을 기소할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지만 가능성은 희박해 보인다.
이 전 총리의 경우 이날 소환조사 결과에 따라 그의 측근들에 대한 보강조사가 필요할 수도 있다.
검찰은 이 전 총리가 성 전 회장으로부터 3000만원을 받았다는 의혹 시점의 상황을 복원하고자 성 전 회장 측근과 경남기업 관계자들에 대한 조사에 치중해왔다.
홍 지사 의혹도 공판에 대비한 증거 보강작업에 시간이 필요하다.
검찰은 홍 지사의 소환조사 나흘 뒤인 12일 그의 최측근인 나경범(50) 경남도청 서울본부장과 강모 전 비서관 등의 자택 등을 압수수색해 확보한 압수물을 분석하고 있다.
검찰 관계자는 "공여자가 없고 당사자가 혐의를 강하게 부인하는 사건 특성상 법적 공방이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재판에서 이기기 위한 보강 수사에 신경을 쓸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