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강영관 기자 = 올해 주택가격이 경제성장률(3%) 수준의 상승세를 보이려면 120만건 이상의 매매거래량을 기록해야 한다는 의견이 제기됐다.
20일 주택산업연구원에서 내놓은 '주택매매거래 100만건과 주택가격' 보고서에 따르면 2006년과 2014년에 주택매매거래가 100만건을 넘었지만 주택가격은 2006년 11.6%, 2014년 1.7% 상승해 차이를 보였다. 이는 그동안 주택수가 증가하고 주택매매거래 구조가 달라졌기 때문이라는 게 주산연의 설명이다.
김덕례 주산연 연구위원은 "주택거래량만 가지고 주택시장을 진단하면 시장을 과열 또는 침체상황으로 잘못 진단해 정책적 오류를 범할 수 있다"면서 "주택거래율(주택수를 고려한 주택거래량) 지표로 시장을 진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택거래율 지표로 보면 2014년 주택거래율은 전국이 6.3%, 수도권이 6.4%, 서울이 5.4%다. 2006년 주택거래율은 전국이 8.0%, 수도권이 11.7%, 서울이 11.2%였다. 2014년과 2006년 주택매매 거래시장 상황은 확연히 다른 것은 같은 주택거래량이라고 하더라도 전체 주택수가 2006년이 적어서다.
2014년 주택매매 거래시장은 오히려 2009년 상황과 비슷하다. 2009년 주택거래율은 전국 6.0%, 수도권 6.2%, 서울 5.6% 등으로 2014년과 크게 차이가 나지 않았다. 2009년 주택가격 상승폭도 2014년(1.7%)과 비슷한 1.5%였다.
여기에 주택매매 거래구조도 달라졌다는 분석이다. 2006년과 달리 2014년은 수도권 거래가 감소하고 지방거래가 많이 증가했다. 2006년엔 수도권이 64.5% 차지했지만 2014년엔 46.0%로 18.5%포인트 감소했다. 특히 서울거래 비중이 2006년 24.4%에서 14.8%로 9.6%포인트 줄었다.
아울러 현지인(주택이 있는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이 주택을 매입하는 비중이 2006년 53.5%에서 2014년 58.9%로 5.4%포인트 증가했다. 이는 수도권 주택시장 침체 장기화로 외지인의 타지주택 구입 비중이 많이 줄어들었기 때문이란 분석이다.
초소형(20㎡)과 중대형(60㎡이상) 거래가 증가하고, 소형주택(20~40㎡) 거래가 감소한 것과 다가구 거래가 증가한 것도 특징적인 부분이다.
주산연은 주택거래 구조 변화 등에 따라 올해 주택 거래량이 120만건을 넘어야 3%대 주택가격 상승률이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올 4월까지 전국의 누적 주택매매 거래량은 39만541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21.5% 증가하면서 주택거래시장 회복세는 뚜렷한 상황이다.
김 연구위원은 "올해 경제성장률 수준인 3% 이상의 주택가격 상승을 기대할 수 있는 주택거래율은 7%를 넘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약 120만건 이상의 주택거래가 이뤄져야 한다"면서 "현재 수준의 주택거래가 꾸준히 이뤄질 수 있도록 정부의 주택구입정책은 지속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