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5/21/20150521155453274487.jpg)
[사진=아이클릭아트 제공]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중동의 사스'로 불리는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이 국내에서도 확산 조짐이다. 첫 감염자가 확인된지 불과 하루만에 세 번째 확진 환자가 나온데다 가족이 아닌 2차 감염자까지 발생하면서 보건당국이 바짝 긴장하고 있다.
21일 질병관리본부는 국내 첫 메르스 환자와 같은 병실에 입원했던 76세 남성이 메르스에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고 발표했다.
전날 국내 첫 감염자로 확인된 A씨(68·남)와 A씨의 부인(63)에 이은 세 번째 메르스 환자로, 가족이 아닌 첫 번째 2차감염자다.
정부는 메르스 환자가 잇따라 발생하자 양병국 질병관리본부장 주관으로 메르스 감염병 위기대응 전문가회의를 열고 위기단계는 '주의단계'를 유지하되 대응 조치는 강화하기로 했다.
특히 2~3차 감염을 막기 위해 세 명의 확진 환자와 밀접하게 접촉한 가족과 의료진 64명을 모두 격리조치했다.
이들에 대해서는 확진환자 접촉일로부터 최대 잠복기인 14일간 모니터링을 실시해 증상 발현 여부를 검사할 계획이다.
메르스는 새로운 유형의 바이러스인 코로나바이러스에 감염돼 나타나는 급성 호흡기감염병으로 2012년 4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발생했다. 낙타가 매개체인 것으로 알려져있다.
감염 후 2~14일의 잠복기를 거쳐 38℃ 이상의 발열, 기침과 호흡 곤란 등의 호흡기 증상을 동반하며 폐 감염이나 급속한 신장 기능 이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최근까지 23개 국가에서 1142명의 환자가 발생했으며 이 중 465명이 사망해 치사율이 40.7%에 이른다. 아직 예방백신이나 치료약은 개발되지 않았지만, 다행히 감염성이 다른 감염병에 비해 높지 않은 편이다.
질병관리본부는 "국내·외에 보고된 메르스 환자는 모두 직·간접적으로 중동 지역과 연관돼 있다"면서 "중동 지역을 방문했거나 낙타와 접촉이 있으면서 귀국 후 14일 이내에 발열, 기침, 호흡곤란 등의 이상 증세가 있으면 의료기관을 방문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