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미국 금리인상 시기 ‘9월설’ 유력…한국 경제에 영향은?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5-26 14:35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마이스터 연준은행장 “금리 인상 시점 접근했다”…9월 전망 35%→45% 상승

재닛 옐런 연방준비제도위원회 의장[사진 = 중국신문망]


아주경제 한아람 기자 =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상 시기로 오는 9월이 유력해지는 분위기다.

연내 금리 인상을 언급한 재닛 옐런 연준 의장의 발언으로 9월 금리 인상 인상설이 12월 인상설을 앞지른 가운데 25일(현지시간) 로레타 마이스터 클리블랜드 연방준비은행장까지 이에 가세해 눈길을 끌고 있다. 

AP 통신 등에 따르면 마이스터 연준은행장은 이날 아이슬란드 수도 레이캬비크의 금융 회동에 참석해 미국 경제의 인플레이션과 고용 지표가 개선됐음을 언급하면서 “(앞으로의) 지표가 내 판단과 일치하면, 우리가 금리를 올릴 수 있는 시점에 접근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마이스터 연준은행장은 이어 연준 산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가 내달 회동에 “개방적 생각으로 임할 것”이라며 “(그전까지 나올) 또 다른 고용 지표 등을 지켜보고 나서 (금리를 올릴지를) 결정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미국의 성장이 지난 1분기 예상 외로 저조한 데 대해서는 “일시적”이라고 일축한 뒤 “(이미 상당 기간 유지돼온) 제로 금리가 연장되는 것은 금융 안정을 위험하게 할 수 있다”고 말해 금리 인상 가능성을 부추겼다.

앞서 지난 22일 옐런 의장은 로드아일랜드주 프로비던스 지역 상공회의소 연설에서 “올해 안 어느 시점에 통화정책 정상화 절차를 시작하는 게 적절하다”고 말해 연내 금리 인상 실시에 못을 박았다. 21일 공개된 FOMC 4월 회의록에서도 대다수의 연준 위원들이 6월 금리인상에 대해 “시기상조”라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RBS에 따르면 옐런 의장의 연설과 FOMC의 4월 회의록 공개 이후 연준정책 전망이 반영되는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에서 9월 금리인상을 전망하는 투자자들은 지난주 35%에서 45%로 늘었다.

미국의 소비자물가가 석 달째 호조세를 보이고 있는 것도 9월 금리인상 전망에 힘을 실어줬다.

미 노동부는 지난 4월 소비자물가지수(CPI)가 한 달 전보다 0.1% 상승했다고 지난 22일 발표했다. 에너지와 식품 부문을 제외한 근원 CPI는 0.3% 올라 2013년 이후 가장 큰 상승폭을 나타냈다.

BNP파리바의 바실리 세레브라이코브 외환 투자전략가는 인플레이션 지표가 “9월 금리인상 가능성을 더 크게 했다”면서 “올해 연준이 아예 기준금리를 올리지 못할 것이란 시장의 안일함에 타격을 가했다”고 지적했다.

이 같은 미국의 기준 금리 인상은 한국 경제에 적지 않은 부담이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의 금리 인상은 한국은행의 기준금리 운용에 제한을 가져올 뿐아니라 글로벌 금융시장 불안을 초래해 한국의 주식·채권·외환시장을 흔들 수 있다.

이에 대비해 한국 금융 당국은 시장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대응책 마련에 적극 나서고 있지만 아직까지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는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