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런데도 은행권에서 대출을 거절당한 서민들이 생계비 조달을 위해 저축은행의 문을 두드리는 사례가 잇따르면서 최근 저축은행 가계대출 규모는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저축은행 이용 고객의 대부분이 서민층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빚이 빚을 부르는’ 악순환의 고리가 계속되고 있는 셈이다.
이런 가운데 미국발 금리인상 '적색 경보음'이 들려오면서 그렇지 않아도 높은 저축은행 대출금리가 인상될 경우 상환능력이 취약한 서민층의 가계부채가 국내 경제 전반을 심각하게 위협할 '화약고'로 작용할 것이라는 우려가 높다. 한편에서는 일본계 저축은행들을 중심으로 고금리 대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어 ‘국부 유출’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
1일 금융권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상호저축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은 11조3093억원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말보다 1조239억원(10.0%) 늘어나며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지난해 같은 때와 비교하면 1년새 무려 2조3381억원(26.1%)이나 급증한 규모이다.
특히 조은저축은행과 모아저축은행은 30~35% 미만의 금리를 적용받는 고객이 각각 98.06%와 85.42%를 기록해 사실상 법정최고금리(34.9%)에 육박하는 살인 금리를 적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SBI저축은행, HK저축은행, 예가람저축은행도 30~35% 미만의 금리 비중이 전체의 44.3%, 45.2%, 38.7%를 차지했다.
이들 저축은행들의 고금리 장사는 금융지주의 계열 저축은행이 중금리 상품을 확대하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인 모습이다. 신한저축은행과 KB저축은행의 10~20% 미만 중금리 대출 비중은 각각 81.83%, 93.74%를 기록했다.
이런 가운데 일본계 저축은행을 중심으로 고금리 대출이 이뤄지고 있어 국부 유출 논란도 끊이지 않고 있다. 일본계 금융기업이 최근 부실 저축은행을 인수해 합병한 OK저축은행과 친애저축은행은 대부업과 별반 차이가 없는 금리를 고수하고 있으며, 저축은행업계 1위인 일본계 SBI저축은행도 전체 대출자의 75.5%에게 25~35% 미만의 고금리 장사를 하고 있다.
금융권 관계자는 “상대적으로 상환능력이 부족한 서민층의 고금리 대출 증가는 가계부채의 뇌관으로 작용해 언제든 신용불량자를 양산해낼 수 있다”며 “특히 우리나라 서민들의 피눈물로 잇속을 채운 일부 일본계 저축은행들이 본국으로의 배당금을 늘리고 있어 국부유출 논란은 더욱 커질 것”이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