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한아람 기자 = 세계 주요 51개국 중 한국 기업들의 배당 성향이 꼴찌를 차지했다. 그만큼 한국 기업이 벌어들인 이익이 주주들에게 배당으로 돌아가지 않는다는 뜻이다.
1일(현지시간) 공개된 블룸버그 집계에 따르면 한국 기업들의 배당성향(5월 31일 기준)은 평균 16.75%로 조사 대상 51개국 가운데 가장 낮았다. 조사 국가 중 유일하게 20%대를 밑도는 수치다. 배당성향은 상장사의 당기순이익 중 현금으로 주주들에게 지급된 배당금 총액의 비율을 말한다.
배당성향 1위에는 72.87%로 체코가 올랐다. 이는 한국 상장사들의 배당성향과 50%포인트 이상 차이가 나는 수치다. 뒤이어 호주(70.91%)와 핀란드(69.07%), 뉴질랜드(65.49%), 영국(63.36%), 포르투갈(63.26%)이 배당성향 2~6위를 차지했다.
이탈리아(51.61%·18위), 프랑스(50.49%·20위), 브라질(44.84%·32위), 독일(38.92%·37위), 미국(35.87%·42위) 등도 한국과 20∼35% 포인트 가량 크게 격차를 냈다.
아시아 주요국을 봐도 대만(47.69%·24위), 태국(46.05%·28위), 인도네시아(37.42%·39위), 홍콩(37.18%·40위), 중국(31.57%·43위), 일본(27.96%·47위)의 배당성향이 한국보다 높았다.
한국의 배당성향은 현재 정부의 주주환원 정책 강화로 증가세에 있다. 실제 지난달 말 배당성향은 지난해 말(14.91%)과 1년 전(13.13%)과 비교하면 상승했다. 그러나 다른 나라 기업들과 비교하면 여전히 미미한 수준이라고 블룸버그는 설명했다.
유독 한국에서 ‘짠물 배당’이 나타나는 요인으로는 기업들의 높은 유보금 축적 선호도가 꼽힌다. 상장사들은 한국 경제의 성장 둔화와 불확실성 등을 우려, 유보금을 통한 투자자금 확보를 선호한다.
또 소유와 지배가 동시에 이뤄지는 기업들이 많아 보수적인 배당 정책이 만연한 것 역시 배당성향을 낮추는 요인이다. 기관투자자들의 소극적인 자세도 기업이 배당 '곳간'을 적극적으로 열지 않는데 한몫했다.
최근 미국과 일본 기업들의 주주 환원이 눈에 띄게 늘어난 점도 한국의 배당성향을 더욱 초라하게 만든다.
올해 미국 주식시장에서 500대 기업의 자사주 매입과 배당액을 합친 금액이 처음으로 1조달러(1094조원)를 넘어설 것이라는 분석이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보도했다. 미국 기업들의 배당액은 최근 4년간 매년 평균 14%씩 올라 올해 배당총액이 4000억달러(437조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됐다.
주주들에게 인색하기로 소문난 일본 기업들도 주주 환원을 대폭 강화하고 나섰다. 노무라홀딩스에 따르면 일본의 3월 결산법인 기업들의 배당과 자사주 매입액은 1년 전보다 76% 늘어난 총 12조8000억 엔(약 114조5000억원)으로 집계됐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