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02/20150602151719517996.jpg)
빌 린튼 프로메가 대표[사진=한남대 제공]
아주경제 모석봉 기자 = “할아버지께서 세운 한남대학교가 생명공학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프로메가에서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겠습니다”
글로벌 생명공학기업 미국 프로메가(Promega)의 빌 린튼(68) 회장은 2일 대전 한남대(총장 김형태)를 방문, 학생들의 바이오 교육 및 인턴십, 관련연구를 위해 10만 달러 이상을 지원하겠다고 발표했다.
린튼 회장의 한남대 방문에는 사촌동생인 인요한(55·존 린튼) 세브란스병원 국제진료소장이 동행했다. 린튼 회장과 인요한 소장은 한남대를 설립하고 초대총장을 역임한 미국인 선교사 윌리엄 린튼(1891-1960·한국명 인돈)의 손자이다.
린튼 회장은 이날 오후 2시 한남대 56주년기념관에서 열린 ‘한남대-프로메가 BT교육연구원’ 10주년 기념행사에 참석차 방한해 한남대에 대한 다양한 교육지원 및 공동연구 추진계획을 밝혔다.
린튼 회장은 먼저 할아버지의 이름은 딴 윌리엄 린튼 장학기금이나 연구기금을 만들어 매년 2만5000 달러씩 최소 5년 이상 지원하기로 했다.
이 기금을 바탕으로 한국 학생들이 미국 위스콘신 메디슨의 프로메가에서 비영리교육기관 BTCI에서 인턴십을 이수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또한 한남대가 최근 설립한 신경정신의약전략연구소와 프로메가 USONA연구소가 신경과학 관련연구와 의약산업 개발에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이날 김형태 한남대 총장은 빌 린튼 회장에게 감사패를 수여했고, 빌 린튼 회장이 기조강연을, 인요한 소장이 대중강연을 했다. 또한 한남대-프로메가 BT교육연구원 및 신경정신의약전략연구소에 대한 소개에 이어서 2부행사로 바이오 심포지엄이 진행됐다.
한남대는 2004년 대덕연구개발특구에 대덕밸리 캠퍼스를 조성하고, 생명·나노과학대학을 설립해 이 분야에 대한 교육 및 연구에 집중해왔다.
이에 프로메가는 지난 2005년 한남대와 공동으로 ‘한남대-프로메가 BT교육연구원’을 설립, 지역 초중고 및 대학생, 교사와 연구원을 대상으로 생명공학 기술 교육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며 10년 간 약 1만500여 명이 교육을 이수함으로써 지역 과학교육에 이바지하고 있다. 프로메가는 이를 위해 매년 13종의 시약 및 제품들을 무상 지원해왔다.
프로메가는 위스콘신대학 약학대학을 졸업한 빌 린튼 회장이 1978년 창업한 회사로, 생명과학의 기초 연구 및 응용과학기술 분야에 사용되는 혁신적인 생물학적 시약과 장비 및 서비스를 전 세계에 공급하고 있다.
주요 제품 및 서비스는 유전체연구, 법의학에서 사용하는 유전자감식 제품, 의약품 개발 시 필요한 세포 내 약리활성을 측정할 수 있는 세포기반의 분석 제품 등이 있다.
한국을 비롯, 세계 16개국에 지사와 세계 50곳 이상의 공급 망을 통해서 100개 이상의 나라에 3000여 종의 서비스와 제품을 공급하고 있으며, 직원 수는 1400명 이상, 매출은 2013년 말 기준 3억6000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린튼 회장의 한남대 지원 발표를 계기로 또다시 120년간 이어지고 있는 린튼가(家)와 한국의 인연이 화제가 되고 있다. 빌 린튼 회장의 외증조부는 1895년 기독교 선교사로 한국에 와서 광주 수피아여고 등을 설립한 유진 벨이다.
또한 한남대 설립위원장과 초대총장을 역임한 윌리엄 린튼은 유진 벨의 사위이며, 빌 린튼 회장의 할아버지가 된다. 윌리엄 린튼은 2010년 한국 독립운동에 참여한 공로로 우리 정부로부터 건국훈장 애족장을 받았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