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03/20150603090713774205.jpg)
모델이 KCC의 비철거형 리모델링 전용 창호 '와이드빌플러스'를 소개하고 있다.[KCC 제공]
3일 KCC에 따르면 와이드빌 플러스는 기존 사용하던 창틀을 철거하지 않는 구조로, 신규 창틀을 기존 창틀 위에 덧대어 새 창호로 교체하는 PVC(Polyvinyl chloride, 폴리염화비닐) 소재의 리모델링 전용 창호 제품이다.
이 제품은 기존에 사용하던 창틀을 들어내는 공정이 없기 때문에 시공성을 대폭 향상 시킨 것이 최대 장점이다. 작업 공정이 단순화되어 단시간 내에 설치 및 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철거 과정에서 폐기물이 발생하는 일도 없기 때문에, 소비자가 체감하는 불편도 매우 적다.
따라서 이번에 출시한 비철거형 창호 와이드빌 플러스는 창틀 제거가 어려운 노후화 된 건물 리모델링이나 창호 교체가 쉽지 않은 저소득층에게 쾌적한 생활 환경 조성을 위한 현실적인 방법으로 활용될 전망이다.
실제 연구진이 자체 분석 프로그램으로 시뮬레이션 해본 결과, 기존에 설치된 창호에 KCC 주거용 리모델링 창호 ‘와이드빌 플러스’를 설치할 경우, 냉난방 에너지 약 60%를 절감하는 효과를 보였다.
또, 기존 벽체의 폭과 높이에 따라 조절이 가능한 가변형 캡(cap)구조를 적용해 현장 조건에 맞게 늘리거나 줄일 수 있어 효율적인 시공이 가능하도록 했으며, 타사의 일체형 창틀과는 달리 분리가 가능하도록 만들어 기존 완제품 세트창 대비 13~15% 가량 가볍게 설계가 가능해 벽이 받는 하중을 감소시키며 운반 및 적재도 용이한 것이 특징이다.
KCC 관계자는 “리모델링 창호의 경우 창틀의 해체 유무에 따라 철거형과 비철거형으로 구분하는데, 각각 사용 목적에 따라 구분 되기 때문에 두 가지 모두 필요한 창호 시공 방법”이라며, “이번에 출시한 비철거형 창호의 경우는 철거가 어려운 저속득층이나 낙후지역 창호의 리모델링 시장을 겨냥하는 한편, 정부 주도의 에너지효율화 개선사업 및 그린리모델링 사업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KCC는 작년부터 정부가 실시하고 있는 에너지 세이빙 정책인 그린리모델링 사업의 메인 사업자로 선정됐으며, 제주도, 국토부와 그린리모델링 협약을 체결하고, 창호, 보온단열재 등 고효율 친환경 건축자재의 교체 시공을 맡는 등 주거 환경의 에너지 성능 향상에 적극 참여하고 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