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05/20150605013846851119.jpg)
[사진 출처: 서울시 제공] 서울시 메르스 의사 이동 동선
이에 대해 박원순 서울시장은 4일 서울시청 브리핑실에서 한 브리핑에서 서울시 메르스 의사에 대해 설명하고 메르스 바이러스 확산을 막기 위해 총력을 기울일 것임을 밝혔다.
서울시는 이날 서울시 메르스 의사 이동 동선을 공개했다. 서울시가 공개한 서울시 메르스 의사 이동 동선은 다음과 같다.
6월 1일 메르스 바이러스 확진 판정된 35번 환자는 14번 환자와 접촉한 모병원 의사(A씨)다. 5월 29일부터 경미한 증상이 시작됐고 5월 30일 증상이 심화됐다.
관련기사
5월 31일부터 기침ㆍ가래ㆍ고열이 발생했고 09시∼10시 병원 대강담 심포지엄에 참석했다가 몸이 안 좋아 귀가했으며 21시 40분 모병원에 격리됐다.
서울시 메르스 의사에 대해 서울시는 “재건축조합 총회 참석자 1565명의 명단을 기확보하였는 바 금일 중 모두에게 연락을 취해 자발적 가택격리 조치를 요청할 것”이라며 “메르스가 지역사회로 확산되지 않도록 의사A의 동선과 관련된 시민들께서는 가택 격리에 협조해 주시기 바란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서울시 메르스 의사에 대해 “모병원에 대해서는 접촉자 전부를 조사해 격리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메르스 바이러스 검진을 바라는 시민은 120다산콜센터(120) 또는 서울시 메르스 대책본부(2133-0691∼7)로 연락하면 메르스 바이러스 검진을 지원받을 수 있다.
서울시는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에 취약한 노약자와 어린이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조치를 취할 계획이다.
보육시설 종사자(5만3301명)에 대해선 자가진단을 실시하고,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 의심 시 어린이를 보육시설에 보내지 않도록 하는 협조내용을 담은 가정통신문을 보낼 예정이다. 노인종합복지관(32개소), 경로당(3311개소), 종합사회복지관(98개소) 등에도 메르스 바이러스 확산을 예방하기 위해 손세정제 지원 등 필요한 조치를 시행할 계획이다.
또한 시민 스스로 메르스 바이러스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진단 체계도 제공한다.
25개 보건소에 메르스 진료실을 별도로 설치해 메르스 감염에 대한 1차적인 진단을 실시하고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을 통해 정밀 진단을 지원할 계획이다.
또한 감염환자의 안전하고 신속한 이송을 위해 서울시 소방재난본부의 구급차를 활용할 계획이고 소방대원의 안전을 위하여 개인보호복 3000세트와 N95마스크 4800개 등의 방역물품 지급을 완료했고 비상근무태세를 확립했다. 박원순 박원순 박원순 박원순 박원순 박원순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