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08/20150608141034277649.jpg)
[6월 서울광장 사용신고 현황. 표=서울시 제공]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전국이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 확산으로 비상이 걸린 가운데 서울시가 시청 앞 서울광장의 개방을 둘러싸고 고민에 빠졌다.
갈수록 확진 환자가 늘어나는 등 불안이 커지면서 공중에게 열린 공간에서 행사가 진행될 때 지역사회 감염 가능성을 절대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8일 서울시에 따르면, 이달 중 국가·지방자치단체나 일반기업 및 단체에서 서울광장 사용신고를 마친 행사는 20여 건이 넘는다. 그야말로 이곳에서는 주말을 포함해 거의 매일 볼거리·즐길거리가 열린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예컨대, 공공에서 오는 26~27일 국가보훈처 '2015년도 호국보훈 퍼레이드', 29일 서울시 체육진흥과 '제12회 대학생 국토순례단 2015 대한민국 희망원정대' 등이 계획됐다. 경북 영주시 풍기군은 17~20일 나흘 간 지역특산품인 '풍기인견' 홍보 일정을 잡았다. 이외 민간에서 추진 중인 프로그램이 15개 내외다.
당장 서울광장의 사용을 허가하고 관리 중인 서울시 입장에서는 고민이 크다.
메르스 확산 방지 차원에서 교육당국이 서울 및 경기도 등지 학교의 일괄 휴업을 단행하고, 예정된 행사들은 잇따라 취소 또는 연기되는 상황에서 불특정 다수가 직간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장이 열리면 서울시를 향한 비난여론이 쏟아질 건 불보듯 뻔하다.
그렇다고 만일의 상황을 우려해서 이미 허가된 일정에 대해 일방적으로 변경할 수도 없다. 관련 조례를 보면, 서울광장은 여가선용 및 문화활동, 집회와 시위 등을 사용 목적으로 한다. 시민의 신체, 생명에 침해를 가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를 빼고 성별이나 장애, 종교 등을 이유로도 차별해서는 안된다.
서울시는 수 차례 내부 회의를 거쳐 서울광장 사용자 측에 행사를 축소하거나 취소 또는 연기할 것을 요청키로 했다. 직접 강제할 수 있는 규정이 없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9일 오후 6시 열리는 '제16회 퀴어(queer)문화축제' 개막식은 유튜브를 통한 온라인 생중계로 대체하는 한편 현장에서 일반 참가자 없이 50명 안팎의 스탭만으로 진행된다. 공연 등 이벤트 역시 규모를 줄여 선보인다.
10일 무대에 올려질 '중산주민 재건축 추진연합회', '2015년 제2회 다링안심 캠페인' 등 2건은 아예 취소됐고, 14일 치르려던 'Run 2wo Bicycle Seoul Race'와 '걷자 건강하자 제3회 서울 울트라랠리'는 시기를 잠정 늦추기로 했다.
서울시 관계자는 "서울광장을 이용하는 주최 측에 취소나 연기를 제안키도 했지만 어디까지나 전적으로 협조가 필요한 사항"이라며 "특정되지 않은 인원들이 한 자리에 모여 일어날 수 있는 만일의 상황을 철저하게 대처해주길 당부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