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봉철 기자 = 최근 2년간 중소 제조업체가 체감한 제조원가는 6% 이상 올랐음에도 납품단가는 오히려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8일 국내 중소 제조업체 300곳을 대상으로 ‘중소 제조업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달 13∼22일까지 진행된 조사 결과, 2013년 제조원가를 100으로 봤을 때 올해 제조원가는 106.2로 6.2% 상승했다.
노무비(107.4)·경비(106.5)·재료비(103.6) 등이 전체적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특히 제조원가 인상 요인으로는 ‘노무비 인상’을 꼽은 기업이 46.6%로 가장 많았다.
이에 비해 납품단가는 지난해 99.2, 올해 98.6으로 2년 연속 하락했다.
중소 제조업체의 61.7%는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다’고 답했으며, 평균적으로 17.2%는 올라야 한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의 49.7%가 지금의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로 ‘다른 업체와의 가격 경쟁으로 인한 납품가격 인하’라고 답했다.
조사에 참여한 업체 가운데 중 48.7%는 ‘납품단가를 올려달라고 요청한 경험이 없다’고 했다.
다만 납품단가 인상요청 경험이 있는 154개 업체 가운데 63.0%는 원 사업자가 요청을 일부 수용했고, 요청한 금액의 평균 41.1%를 올려줬다고 집계됐다.
중소 제조업체들은 거래를 할 때 ‘일정기간 일감(납품물량) 보장’(37.0%), ‘납품단가 제값받기’(31.3%), ‘납품대금의 신속한 현금결제’(19.0%) 등을 원한다고 답변했다.
정부에는 ‘주기적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25.3%), ‘납품단가 후려치기에 대한 처벌 강화’(25.0%),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21.7%) 등을 원한다고 응답했다.
정욱조 중소기업중앙회 성장지원실장은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가 대금 지급 실태를 집중 점검하는 등 불공정행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납품단가 제값 받기는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중소기업중앙회는 8일 국내 중소 제조업체 300곳을 대상으로 ‘중소 제조업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지난달 13∼22일까지 진행된 조사 결과, 2013년 제조원가를 100으로 봤을 때 올해 제조원가는 106.2로 6.2% 상승했다.
노무비(107.4)·경비(106.5)·재료비(103.6) 등이 전체적으로 올랐기 때문이다. 특히 제조원가 인상 요인으로는 ‘노무비 인상’을 꼽은 기업이 46.6%로 가장 많았다.
중소 제조업체의 61.7%는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다’고 답했으며, 평균적으로 17.2%는 올라야 한다고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기업의 49.7%가 지금의 납품단가가 적정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이유로 ‘다른 업체와의 가격 경쟁으로 인한 납품가격 인하’라고 답했다.
조사에 참여한 업체 가운데 중 48.7%는 ‘납품단가를 올려달라고 요청한 경험이 없다’고 했다.
다만 납품단가 인상요청 경험이 있는 154개 업체 가운데 63.0%는 원 사업자가 요청을 일부 수용했고, 요청한 금액의 평균 41.1%를 올려줬다고 집계됐다.
중소 제조업체들은 거래를 할 때 ‘일정기간 일감(납품물량) 보장’(37.0%), ‘납품단가 제값받기’(31.3%), ‘납품대금의 신속한 현금결제’(19.0%) 등을 원한다고 답변했다.
정부에는 ‘주기적 납품단가 반영 실태조사’(25.3%), ‘납품단가 후려치기에 대한 처벌 강화’(25.0%), ‘납품단가 연동제 도입’(21.7%) 등을 원한다고 응답했다.
정욱조 중소기업중앙회 성장지원실장은 “지난해 공정거래위원회가 대금 지급 실태를 집중 점검하는 등 불공정행위 개선을 위해 노력하고 있지만 중소기업이 현장에서 체감하는 납품단가 제값 받기는 여전히 미흡한 수준”이라고 전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