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18/20150618105622285247.jpg)
[사진=아주경제DB]
미국 워싱턴 재향군인 메디컬센터 연구팀이 현재 담배를 피우는 629명, 담배를 피우다 끊은 지 15년 이상 된 1297명, 평생 담배를 피우지 않은 2556명을 대상으로 13년에 걸쳐 진행한 조사분석 결과 이같은 사실이 밝혀졌다고 영국의 데일리 메일 인터넷판이 18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담배를 끊고 15년이 경과하면 심부전과 사망 위험이 평생 담배를 피우지 않은 사람과 비슷해진다.
담배를 끊고 15년이 지난 그룹은 심부전 발생률이 21%로 평생 담배를 피우지 않은 그룹의 21%와 같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연구팀을 이끈 알리 아메드 박사가 밝혔다.
그러나 흡연량이 32갑년(하루 평균 흡연량 x 흡연연수)이상이었던 골초들(312명)은 담배를 끊고 15년이 지났어도 심부전 발생률이 30%에 가까운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담배를 피우고 있는 사람은 심부전 위험이 평생 금연자와 담배를 끊고 15년이 경과한 사람보다 50% 더 높았다. 이들은 또 모든 원인에 의한 사망 위험이 평생 금연자보다 2배 높았다.
과거 흡연량이 32갑년 이상이었지만 담배를 끊고 15년이 지난 사람들은 사망 위험이 평생 금연자들보다 26% 정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