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18/20150618113018990429.jpg)
전국적인 메르스(MERS·중동호흡기증후군) 확산에 따른 시민의 불안감이 가중되고 있는 가운데 16일 오전 서울 종로구 PC 방에서 한국방역협회 직원들이 살균 소독 작업을 하고 있다.[남궁진웅 timeid@]
아주경제 박성준 기자 = 메르스(중동호흡기증후군)로 인한 지역경기침체를 극복하고자 지방공기업이 지원에 나섰다.
행정자치부(장관 정종섭)는 18일 오전 각 시도별 공기업, 지방 출자·출연기관 담당과장 긴급회의를 개최, 메르스 사태로 야기된 지역경제침체에 대해 지방공기업과 지방 출자·출연 기관이 적극 나서 극복에 협조할 것을 당부했다.
현재 메르스 피해지역은 국민들의 활동 위축으로 농산물 생산농가, 소상공인, 전통시장 등에 막대한 경제적 손실이 이어지는 상태다. 이에 정부는 지방공기업과 지방 출자·출연기관이 나서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했다.
전국 400개의 지방공기업과 569개의 지방 출자・출연기관의 총 예산 규모는 53조원이며 인력규모는 9만7000여명에 달한다. 이들 기관이 나서 △지역 일손돕기 △지역특산품 직접구매 및 판로확대 △소상공인 지원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아울러 행자부는 메르스 피해자에 대한 지방세 납부기한 연장, 징수유예, 감면 등을 적극 검토하고 지역경제 위축 방지를 위한 예산의 선제적 조기 집행도 추진할 예정이다.
정정순 행정자치부 지방재정세제실장은 “지방공기업과 지방 출자·출연기관의 적극적인 활동으로 메르스 피해지역의 농가, 소상공인, 전통시장 등 경제적 취약계층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