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18/20150618144329198120.jpg)
홍콩 입법회는 18일 2017년 행정장관 선거안을 부결했다. [사진=중국신문사]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 홍콩에 '직접선거' 요구의 노란우산 물결을 일으켰던 2017년 홍콩 행정장관 선거안이 결국 부결됐다.
중국 관영언론 신화망(新華網)은 홍콩 입법회(국회 격)가 18일 오후 12시 35분께(현지시간) 참석의원 37명을 대상으로 선거안을 표결에 부쳤고 3분의 2가 반대해 부결됐다고 이날 전했다. 반대가 28표, 찬성은 단 8표였으며 기권도 1표 나왔다.
홍콩 정부가 지난 4월 중국 전국인민대표대회(전인대) 승인을 얻어 확정한 선거안은 2017년 행정장관 선거부터 기존의 간선제를 직선제로 변경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하지만 후보 추천위원회 과반인 600명 이상의 지지를 받은 예비후보 2~3명에게만 최종후보 자격을 제한하면서 '반쪽 직선제', '가짜 직선제'라는 일부 홍콩 시민들의 불만이 터져나왔다. 일각에서는 추천위 상당수가 친중국 인사로 구성된 점을 들어 반(反)중국 인사를 걸러내려는 의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결국 입법회에서 부결되면서 실행궤도에는 오르지 못하게 됐다. 앞서 홍콩 자치와 민주주의를 강조하는 범민주파는 행정장관 선거안을 반드시 부결시키겠다는 뜻을 거듭 밝힌 바 있다.
'진정한 직접선거'가 도입되지 못했다는 측면에서는 '부결'도 큰 성과는 아니라는 분석이 나온다. 새로운 선거안이 통과되지 않으면 기존의 간선제가 유지되기 때문이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는 앞서 16일 논평을 통해 "선거안이 통과되거나 부결되거나 상관없이 홍콩의 정치상황은 변하지 않을 것 같다"는 의견을 내놨다. 지금까지 홍콩 행정장관은 선거위원 1200명으로 구성된 선거위원회 간접선거로 선출해왔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