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19/20150619102914406673.jpg)
[고양시제공]
최성 시장은 고양시는 서울과 평양의 북부 중심도시 중간에 위치한 한반도 번영의 중핵심지대로서 발전 잠재력이 매우 높은 지역이라면서, 경기 서북부 지역의 지정학적 위상이 높아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최 시장은 2015년은 한반도가 해방과 분단 된지 70주년이 되는 해이며, 6․15 공동선언 발표 15주년이라면서, “대한민국에서 10번째로 인구 100만 도시에 진입한 고양시는 다가오는 통일시대 통일한국의 실질적 수도 역할을 할 수 있는 2020년 평화통일특별시의 위상과 비전을 착실히 다져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이는 박근혜정부의 대북정책과 동북아 번영 관련 공약의 핵심인 한반도종단철도(TKR)가 중국횡단철도(TCR)는 물론 시베리아 횡단철도(TSR)와 연결되어 복합물류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이른바 ‘실크로드 익스프레스’에 그 최종 목표가 있는 만큼, 고양시가 야심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GTX의 추진과 JDS지구의 평화통일경제특구의 구상 및 경의선~대곡 역세권 발전프로젝트와 연결될 경우 큰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평화통일경제특구’는 고양시 주축을 북한의 개성공단을 지원할 수 있는 교류협력단지를 조성하고 신남북경협 모델로서 안보 그리고 경제적 효과를 극대화하는 경기도 서북부 지역의 지정학적 공간으로, 향후 남북관계의 정치적 그리고 군사적 대립 발생시 완충 지대 역할을 하며 한반도 평화 정착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고 역설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