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누리당 메르스 비상대책특별위원회 부위원장인 의사 출신 문정림 의원은 이날 삼성서울병원에 대해 원격의료 특혜 허용 지적에 대해 "지금은 비상사태이기 때문에 조금 다르게 생각해야 한다"며 삼성서울병원에 특혜를 준 것이 아니라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23/20150623143528438943.jpg)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23일 삼성서울병원의 메르스 사태 확산에 따른 책임을 통감하며 대국민 사과를 한 가운데, 새누리당은 메르스 사태와 관련 병원에 허용된 '원격의료'에 대해 "특혜가 아니다"란 입장을 밝혔다. (사진설명) 이재용 삼성전자 부회장이 23일 오전 서울 삼성서초사옥에서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사태와 관련해 직접 대국민 사과문을 발표하고 있다.[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문 의원은 이날 TBS라디오에 출연해 "(삼성서울병원에 전화 처방을 허용한 것은) 환자 입장에서 생각해야 한다. (이번 논의는) '삼성서울병원에 정기적으로 만성 질환, 당뇨, 고혈압 때문에 약을 받던 분들이 (메르스 사태로) 그 약을 쓰지 못할 때 어떻게 하느냐'라는 부분에서 나온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전화 통화를 통한 처방이 큰 의미의 원격 의료라고 볼 수는 있지만, 사실 원격 의료가 민영화 논란과 연관돼 언급되는 것은 시기적으로 지금은 조금 적절치 않다"고 지적했다.
문 의원은 또한 "다만 이런 논란 때문에 정부가 삼성의료원의 협력 의료기관 진찰을 통한 처방을 인정하겠다고 했고, 또 협력 의료기관이 없는 곳에 있는 환자의 경우에만 팩스로 처방하는 것을 허용하겠다고 했기 때문에 이 부분은 이제 정리가 된 것 같다"고 부연했다.
앞서 보건복지부는 외래 진료가 중단된 삼성서울병원 환자에 대해 담당 의사와 통화해 진찰을 받고, 환자가 지정하는 약국에서 팩스로 의약품 처방전을 전달받아 의약품을 받을 수 있도록 했다.
이에 대해 삼성서울병원에 원격의료를 허용하는 특혜라는 지적이 야권에서 강하게 제기됐다.
한편 이재용 부회장은 이날 대국민 사과를 통해 "메르스 사태가 수습되는 대로 병원을 대대적으로 혁신하겠다"며 "어떻게 이런 일이 발생했는지 철저히 조사하고 재발방지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번 일을 계기로 응급실을 포함한 진료환경을 개선하고 부족했던 음압 병실도 충분히 갖춰서 환자 분들께서 안심하고 치료받을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며 "앞으로 이런 감염 질환에 대처하기 위해 예방 활동과 함께 백신과 치료제 개발을 적극 지원하겠다"고 덧붙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