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아서 시작한 극회였고 연기였기에 박 교수의 수업은 매우 귀중했고, 피와 살이 됐다. 스스로도 연기에 푹 빠졌다. 매 시간마다 상황극을 만들어가야 했고 연기해야 했다. 창의적이지 않으면 안됐다. 그렇게 연기를 ‘만들어 가는데’ 빠져들었다. 부산에서 연기를 하던 장명갑은 서른셋 나이에 서울로 상경했다.
늦은 나이에 서울을 무대로 삼기 위해 스스로 한 가지 테스트를 했다. 2006년 1월 부산에서 통일전망대까지 걸어가기. 특전사 대원들도 힘들어하는 천리행군과 마찬가지였다. 차이점이라면 산길이냐 도로냐 정도. 부산 해운대에서 출발해 송정, 기장, 울산까지 첫날에 끊었다. 현금은 28만원이 전부였다. 겨울비가 주르륵 내리던 그 때 양산에서 박스채로만 파는 과일 판매 트럭에서 사과 하나를 얻어 먹었는데, 그때 베어 물었던 사과의 맛이 아직도 잊어지지 않는단다. 열 하루하고 반나절, 통일전망대에 도착했다. 그리고 부산으로 돌아와 정리하고 서울로 향했다.
2006년 영화 ‘사생결단’에서 횟집 주방장 역을, 이듬해 ‘황진이’에서 윤승지댁 하인 역 등 조단역을 주로 맡았다. 천만영화 ‘해운대’에선 우성 역으로 출연했으며 ‘퀵’에서는 기관사로 등장했다. ‘아부의 왕’ ‘전국노래자랑’ ‘백프로’ ‘방황하는 칼날’ ‘못’ 등 꽤 많은 작품에 출연했다. 주연작으로는 단편 ‘옥분씨네 화목한 가족’과 ‘고양이가 있었다’가 있다. ‘고양이가 있었다’는 제작과 각본까지 맡은 작품이다.
‘정도’(正道)가 없는 연기자의 길은 쉽지가 않다. ‘열심히’만 한다고 성공하지 않는다. 삶은 고되고 마음은 지친다. 하지만 장명갑은 연기에 대한 끊을 놓지 않았다.
장명갑은 지난 23일 서울 논현동 카페에서 진행된 아주경제와의 인터뷰에서 “‘극비수사’(감독 곽경택·제작 제이콘컴퍼니·공동제작 영화사 신세계)는 저에게 정말 감사한 작품이죠”라고 말문을 열었다.
‘극비수사’는 1978년 부산에서 한 아이가 유괴된 후 수사가 시작되고, 아이 부모의 특별 요청으로 담당이 된 공길용(김윤석) 형사가 아이를 보호하기 위해 극비 수사를 진행하기로 하고, 도사 김중산(유해진)으로부터 아이가 살아 있으며 보름 째 되는 날 범인으로부터 첫 연락이 온다는 사주풀이를 듣고 아이를 살리기 위해 고군분투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장명갑은 부산특별팀을 이끄는 유반장 역을 맡았다. 유반장은 아이보다 범인 잡기에 혈안이 된, 경찰로서는 당연하다고 볼 수 있지만 매우 얄밉게 그려지는 인물이다.
사실 스태프들의 우려의 목소리도 있었다. 김윤석의 나이가 만 47세, 장명갑이 40세였다. 실제로 만난 장명갑은 전혀 나이가 들어 보이지 않았다. 그래서 분장의 힘을 빌리기로 했다. 분장팀이 장명갑의 얼굴에 요술을 부리자 40대 후반의 모습이 나왔다. 주변 스태프들도 ‘유반장이다’라고 할 정도였다. 그 때부터 한시름 놓을 수가 있었다. 왜냐하면 김윤석과 부딪혀야하기 때문에.
“부담스러웠죠. 첫 신(scene)이 부산팀이 영화관 지하 창고에서 모이는 신이었어요. 윤석 형님과 날카롭게 대립해야 하는 신이었는데 욕심이 났어요. 여러 테이크를 가고 싶었지만 2~3번만에 오케이를 하셔서 아쉬웠어요.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배우잖아요. 다시 올지 모르는 절호의 기회였는데 아쉽더라고요. 워낙 노련하고 묵직한 베테랑 선배라 힘차게 다가섰죠. 비유를 하자면 달려든 제가 들배지기에 들린 것 같았어요. 모니터링을 해보니 감정대립 정도로만 보여서 아쉬웠습니다.”
“영화가 개봉을 하고 인터넷 검색을 해봤습니다. ‘코를 때려주고 싶다’는 의견이 있더라고요(웃음). 한우용 PD도 ‘마트 갈 때 조심하라’고 했죠. 영화를 본 나이 지긋하신 분들 중에는 때리려고 할지도 모른다고요(웃음). 한편으로는 ‘그 양반 연기는 그냥 그런데 캐스팅은 탁월했어’라는 반응도 있었죠. 좀 더 힘을 빼고 편안하게 갔으면 어땠을까라는 생각을 하게 됐죠. 부담감 때문에 그랬겠지만요.”
장명갑은 자신을 캐스팅해준 곽경택 감독에게 진심으로 감사했다. 자신을 기용한 것 만으로도 고마웠다. 장명갑의 표현을 빌리자면 ‘무명 배우들에게 있어 축복과도 같은 감독님’이었다. 인지도를 떠나 배역에 맞는 최적의 캐스팅을 한 곽경택 감독이었다.
장명갑은 인터뷰 장소에 일기장을 들고 나왔다. 하루를 정리하기도 하고, 수필도 들어 있는 장명갑만의 심리치료제였다. 안정적이지 못한 생활 속에서 자신을 돌아보고 다 잡게 만드는 소중한 물건이다.
장명갑은 다시 대학로로 향해 공연을 보며 연기 공부를 더 하겠다고 했다. 자신이 설 수 있는 무대가 있다면 오를 것이고, 영화가 있다면 그 캐릭터에 빠져 지낼 예정이다.
노력하는 사람이 반드시 성공하는 것은 아니다. 하지만 성공한 사람들은 여지없이 노력했다. 장명갑은 노력하는 배우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