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연유산, ​40~44세 산모서 가장 많이 발생

[그래픽=김효곤 기자 hyogoncap@]


아주경제 조현미 기자 = 40~44세의 산모가 임신 도중 자연유산하는 비율이 가장 높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고령임신으로 태아의 염색체에 이상이 많이 발생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자연유산은 임신 20주 이내에 자연적으로 임신이 종결되는 상태를 말한다. 임신 초기인 14주 이내에 자궁 내 태아가 사망해 발생하는 계류유산이 대표적이다.

28일 건강보험공단에 따르면 2009~2013년 자연유산으로 건강보험 진료를 받은 인원은 2009년 1만4000명에서 2013년 1만7000명으로 매년 3.9%씩 증가했다.

자연유산에 따른 건강보험 진료비는 같은 기간 18억6507만원에서 18억1196만원으로 다소 줄었다.

분만 진료인원 중 자연유산 비율은 2009년 3.6%(분만 41만1543명, 자연유산 1만4740명)에서 2013년 4.3%(분만 39만9375명, 자연유산 1만7151명)로 늘었다.

2013년 기준으로 분만 진료인원에서 자연유산이 차지하는 비율을 임신부 연령별로 분석하면 40~44세가 12.1%(분만 1만3230명, 자연유산 1602명)로 가장 높았다.
 
35~39세가 4.6%(분만 7만9891명, 자연유산 3700명), 25~29세 4.0%(분만 8만1540명, 자연유산 3248명), 30~34세가 3.5%(분만 20만4928명, 자연유산 7198명)로 다음을 이었다.

자연유산을 건강보험 직장가입자와 비(非) 직장가입자로 나눠 분석한 결과, 분만에서 자연유산이 차지하는 비율은 직장가입자가 5.1%, 비 직장가입자의 3.9%보다 1.2%포인트 높았다.

이런 경향을 40대와 20대 후반 임신부에서 더욱 두드러졌다.

임신부 중 40~44세 직장가입자의 자연유산율은 15%로 비 직장가입자(11.1%)보다 3.9%포인트 높게 나타났다. 25~29세에선 직장가입자 5.9%, 비 직장가입자 3.1%로 2.8%포인트 차이가 났다.

이산희 일산병원 산부인과 교수는 직장가입자의 자연유산 비율이 높은 이유에 대해 “명확하게 설명하기 어렵지만 주로 자연유산 중 ‘절박유산’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절박 유산은 임신 20주 이내에 질출혈을 동반해 실제 유산으로 진행될 수 있는 경우를 말한다.

이 교수는 “이때는 절대 안정과 관찰이 필요한 시기이지만 직장생활을 하는 산모는 상대적으로 안정을 취하지 못해 자연유산으로 진행되는 일이 상대적으로 높을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