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혜란 기자 = 제2연평해전 13주기를 맞은 29일 여야는 안보 행보에 주력했다.
김무성 새누리당·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이날 제2연평해전 13주기 추모식에 나란히 참석했으며, 양당은 각각 '원조 안보정당'과 '유능한 안보정당'이미지를 부각하는 데 힘을 쏟았다.
이런 와중에 김태호 새누리당 최고위원의 '개죽음' 실언을 두고 여야가 충돌하면서 '안보 공방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안보 이슈로 보수 결집을 시도하는 여당과 안보 행보로 중도층 끌어안기에 나선 야당 사이에 안보 주도권 다툼이 한층 격화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김 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를 비롯한 지도부와 최고위원들은 이날 추모식에 참석하기 전 경기도 평택상공회의소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개최했다.
김 대표는 이날 최고위에서 "국민의 생명과 안전, 국가 안보 문제는 우리 새누리당의 최우선 가치임을 오늘 다시 한 번 강조한다"며 "국가 안보와 국민의 생명은 무엇과도 바꿀 수 없는 최우선 가치다. 안보정당은 새누리당의 최우선 가치이기도 하다"고 거듭 강조했다.
김 대표는 이어 "특히 우리 당은 국가를 위해 생명을 바친 호국 영웅 용사들이 소외되고 홀대받는 일이 없도록 입법적·제도적 지원은 물론이고 명예로운 보훈 문화 정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 자리에서 김태호 최고위원의 돌출 발언이 터져나와 '원조 안보정당'으로서의 안정감과 신뢰에 흠집을 내기도 했다.
김 최고위원은 "정말 이런 일(북한의 기습공격)이 있으면 이제부턴 사자처럼 용맹하게 즉각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잘못 건드리면 백배, 천배 더 응분의 대가를 각오해야 할 정도로 과감하게 대응해야 한다"며 "우리 아들 딸들이 이런 개죽음을 당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제2연평해전 당시 전사한 국군 장병의 억울함 죽음을 가리켜 '아무런 보람이나 가치가 없는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인 '개죽음'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에 새정치연합은 김 최고위원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허영일 새정치연합 부대변인은 곧바로 논평을 통해 "김 최고위원이 연평해전 전사 장병들에 대해 '개죽음'이라 표현한 것은 국가관이 의심스러운 발언"이라며 "연평해전 13주기를 맞이하는 추모분위기 속에서 나온 말이어서 더욱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연평해전 전사 장병들을 모독하고 유가족의 가슴에 대못을 박는 것"이라며 국민 앞에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아울러 문 대표 취임 이후 '유능한 안보 정당' 깃발을 내건 새정치연합은 "튼튼한 안보가 민생의 길"임을 강조하고 나섰다.
문 대표는 전날 일부 최고위원들과 함께 영화 '연평해전'을 관람한 데 이어 이날 오전 제2연평해전 13주기 추모식에 참석했다. 문 대표는 앞서 지난 24일에는 40년 전 자신이 특전요원으로 복무했던 특전사 제1공수 특전여단을 방문하기도 했다.
김영록 새정치연합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새정치연합은 북한의 어떠한 군사적 위협과 도발도 결코 용납하지 않고 단호하게 맞서 NLL(북방한계선)을 확고하게 수호할 것"이라며 "튼튼한 안보는 평화의 길이고 민생의 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런 점에서 평화를 파괴하는 일체의 무력도발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것이 햇볕정책의 최우선 원칙이었음을 상기시키고자 한다"며 "이는 새정치연합이 단 한 번도 포기하지 않은 원칙이며, 앞으로도 바뀌지 않은 확고한 원칙"이라고 주장했다.
문 대표는 또 이날 오후에는 마크 리퍼트 주한 미대사를 접견해 '탄저균 사고'와 사드 도입 문제 등 한반도 현안을 논의했다.
김무성 새누리당·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는 이날 제2연평해전 13주기 추모식에 나란히 참석했으며, 양당은 각각 '원조 안보정당'과 '유능한 안보정당'이미지를 부각하는 데 힘을 쏟았다.
이런 와중에 김태호 새누리당 최고위원의 '개죽음' 실언을 두고 여야가 충돌하면서 '안보 공방전'이 벌어지기도 했다. 안보 이슈로 보수 결집을 시도하는 여당과 안보 행보로 중도층 끌어안기에 나선 야당 사이에 안보 주도권 다툼이 한층 격화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29/20150629171202526806.jpg)
29일 경기도 평택상공회의소에서 열린 현장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 중인 김무성 새누리당 대표. 왼쪽은 유승민 원내대표. [사진=새누리당 제공]
김 대표와 유승민 원내대표를 비롯한 지도부와 최고위원들은 이날 추모식에 참석하기 전 경기도 평택상공회의소에서 현장 최고위원회의를 개최했다.
김 대표는 이어 "특히 우리 당은 국가를 위해 생명을 바친 호국 영웅 용사들이 소외되고 홀대받는 일이 없도록 입법적·제도적 지원은 물론이고 명예로운 보훈 문화 정착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이 자리에서 김태호 최고위원의 돌출 발언이 터져나와 '원조 안보정당'으로서의 안정감과 신뢰에 흠집을 내기도 했다.
김 최고위원은 "정말 이런 일(북한의 기습공격)이 있으면 이제부턴 사자처럼 용맹하게 즉각적으로 대응해야 한다. 잘못 건드리면 백배, 천배 더 응분의 대가를 각오해야 할 정도로 과감하게 대응해야 한다"며 "우리 아들 딸들이 이런 개죽음을 당하는 일은 없어야 한다"고 말했다. 제2연평해전 당시 전사한 국군 장병의 억울함 죽음을 가리켜 '아무런 보람이나 가치가 없는 죽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인 '개죽음'으로 표현한 것이다.
이에 새정치연합은 김 최고위원을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허영일 새정치연합 부대변인은 곧바로 논평을 통해 "김 최고위원이 연평해전 전사 장병들에 대해 '개죽음'이라 표현한 것은 국가관이 의심스러운 발언"이라며 "연평해전 13주기를 맞이하는 추모분위기 속에서 나온 말이어서 더욱 부적절하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연평해전 전사 장병들을 모독하고 유가족의 가슴에 대못을 박는 것"이라며 국민 앞에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6/29/20150629171418862018.jpg)
문재인 새정치민주연합 대표. [사진=새정치민주연합 제공]
아울러 문 대표 취임 이후 '유능한 안보 정당' 깃발을 내건 새정치연합은 "튼튼한 안보가 민생의 길"임을 강조하고 나섰다.
문 대표는 전날 일부 최고위원들과 함께 영화 '연평해전'을 관람한 데 이어 이날 오전 제2연평해전 13주기 추모식에 참석했다. 문 대표는 앞서 지난 24일에는 40년 전 자신이 특전요원으로 복무했던 특전사 제1공수 특전여단을 방문하기도 했다.
김영록 새정치연합 수석대변인은 논평에서 "새정치연합은 북한의 어떠한 군사적 위협과 도발도 결코 용납하지 않고 단호하게 맞서 NLL(북방한계선)을 확고하게 수호할 것"이라며 "튼튼한 안보는 평화의 길이고 민생의 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런 점에서 평화를 파괴하는 일체의 무력도발을 용납하지 않겠다는 것이 햇볕정책의 최우선 원칙이었음을 상기시키고자 한다"며 "이는 새정치연합이 단 한 번도 포기하지 않은 원칙이며, 앞으로도 바뀌지 않은 확고한 원칙"이라고 주장했다.
문 대표는 또 이날 오후에는 마크 리퍼트 주한 미대사를 접견해 '탄저균 사고'와 사드 도입 문제 등 한반도 현안을 논의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