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하원의원 "일본 세계유산 왜곡등재 NO"...전쟁포로 고려해야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7-04 11:5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아베신조 일본 총리의 모습. 일본이 침략역사가 녹아있는 산업시설을 대거 유네스코 문화유산에 등재하려하자 美 하원의원들도 반대입장을 표명하고 나섰다. [사진= 일본 총리실 페이스북]


아주경제 김근정 기자= 조선인 강제징용, 각국 포로의 '뼈아픈 고통'이 스며있는 일본의 산업혁명 시설 세계유산등재 논의를 앞두고 미국 하원의원들이 반대의 목소리를 내고 나섰다. 이에 따라 유네스코 등재를 결정하는 막판 심사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마이크 혼다(민주·캘리포니아), 크리스 깁슨(공화·뉴욕) 등 민주, 공화 양당 하원의원 6명이 3일(현지시간) 마리아 뵈머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 의장 앞으로 연명서한을 보내고 일본 산업혁명시설 유네스코 등재에 대해 강경한 반대의 목소리를 전했다.

아베신조 일본 총리의 올바른 역사인식을 촉구하고 군 위안부 강제동원 등을 인정하라고 요구하고 나섰던 미 의회가 역사 왜곡의 소지가 농후한 일본의 시도에 또 다시 제동을 걸고 나선 것이다.

이들 의원은 서한에서 "일본의 요청대로 등재가 이뤄질 경우 또 다시 역사 왜곡의 결과를 낳을 수 있는 만큼 역사의 '명암'(明暗)을 있는 그대로 기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는 일본이 23개 근대산업시설 등재를 추진하면서 의도적으로 그 기간을 1850년부터 1910년까지 기록으로 국한하려는 것을 꼬집은 것이다. 

일본이 역사를 선택적으로 기술해 1910년 이후 조선인 강제징용, 제2차 세계 대전 당시 각국 전쟁포로 수감 및 강제노동 등의 현장이라는 '과거'를 의도적으로 감추려 하고 있다는 게 세계 외교가의 중론이다.

미 의원들도 연명서한에서 "일본의 등재신청은 오직 광산 및 철강 산업의 역사만 다루고 전쟁포로의 역사를 완전히 생략하고 있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또한 조선인 강제징용 피해와 연합군 전쟁포로 강제노동 등을 생략하는 것은 '보편적 가치'를 추구하는 유네스코 원칙에도 맞지 않는다는 사실을 강조했다.

관련 전문가들도 반대의 목소리를 높이는 분위기다. 민디 코틀러 동아시아 전문 싱크탱크인 아시아폴리시포인트(APP) 소장은 3일 '더 디플로매트'에 기고한 '유네스코와 일본의 망각 행위'라는 문장을 통해 일본의 선택적 역사 기술 시도를 거세게 비판했다.

또한 "이는 일본의 명예를 회복하고 관광산업 활성화를 위해 경제를 살리려는 의도가 깔린 것"이라며 "해당 지역은 심지어 아베 총리와 아소 부총리, 하야시 요시마사 농림수산상의 지역구"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