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7/08/20150708113817632440.jpg)
김상곤 새정치민주연합 혁신위원장 [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
아주경제 최신형 기자 =새정치민주연합 김상곤 혁신위원회가 8일 최고위원제와 사무총장 폐지를 골자로 하는 2차 혁신안을 제시, 당내 파장을 예고했다.
김상곤 혁신위는 오는 20일 중앙위원회에서 당헌 개정을 통해 혁신의 법제화를 추진할 방침이지만, 이 경우 2·8 전국대의원대회에서 당선된 최고위원들의 임기 2년을 박탈할 수밖에 없어 논란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계파 문제 해결의 방향은 지역과 직능, 세대 등 당원을 대표하고 국민의 열망을 수렴할 수 있는 지도체제를 확립하는 데 있다”며 “이런 민주적 대의체제가 바로 서기 위해서는 선거동원을 중심으로 고안된 현행 당원체제의 혁신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밝혔다.
김상곤 혁신위의 제2차 혁신안은 사무총장제를 폐지하는 한편, 당 조직을 총무·조직·전략홍보·디지털·민생생활본부장 등 ‘5 본부장’ 체제로 대대적으로 개편한다. 각 본부장은 공천기구에서 배제하기로 했다.
첨예한 쟁점인 최고위원제 폐지 시한은 내년 4월 총선 직후로 정했다. 문재인 대표 역시 조기 퇴진 명단에 포함된다. 대신 지역·세대·계층·부문별 대표로 구성되는 새로운 지도부 체제를 완성해 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
아울러 ‘현역 의원 물갈이’의 1차 작업을 맡을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위원장 포함 15인 이내)는 100% 외부인사로 구성키로 했다.
김 위원장은 이와 관련해 “혁신위원회는 새정치연합이 안고 있는 문제의 근원에 계파의 기득권과 이익이 도사리고 있음을 직시했다”며 “당헌·당규보다 계파의 기득권이 우선되는 상황에서는 어떤 혁신안도 유효할 수 없고, 실천될 수 없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