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7/09/20150709141758881070.jpg)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9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실에서 열린 금통위를 주재하며 한숨을 쉬고 있다.[남궁진웅 timeid@]
아주경제 박선미·홍성환 기자 = 한국은행이 9일 올해 경제성장률 예상치를 3.1%에서 2.8%로 내려잡았다. 상반기 성장률 2.4%, 하반기 3.1%다. 수출이 계속 부진한 가운데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사태의 영향 등으로 소비가 큰 폭으로 감소했기 때문이다. 이는 정부가 올해 성장률로 기대하고 있는 3.1%보다 0.3%포인트나 낮은 수치다.
이주열 한은 총재는 이날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1.5%로 동결한 뒤 진행한 기자간담회에서 "올해 경제성장률은 2.8%, 물가상승률은 0.9%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이 총재는 "지난 4월 전망에서는 2분기 성장률을 1.0%로 예상했었지만 메르스 충격과 가뭄 피해가 겹치면서 0.4% 정도로 추정한다"고 말했다. 이어 "3분기 이후에는 지난 분기의 일시적 충격에 따른 영향이 줄어들면서 완만하지만 다시 회복세를 나타낼 것"이라며 "경제주체들의 심리회복 속도에 달려있다"고 덧붙였다.
이로써 한은도 2%대 성장률 전망 대열에 합류했다. 정부는 최근 발표한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올해 성장률로 3.1%를 전망했지만 한국금융연구원은 2.8%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국경제연구원은 이보다 낮은 2.7%, 산업연구원은 2.9%를 제시했다.
한은은 1년에 네차례 전망치를 제시하고 있다. 성장률 전망 수준은 지난해 4월 4.2%에서 7월 4.0%, 10월 3.9%, 올해 1월 3.4%, 4월 3.1%로 꾸준히 하향 조정돼왔다.
이 총재는 2%대 저성장기에 진입했다는 지적에 대해 '기우'라고 일축했다. 그는 "올해 성장률을 낮추긴 했어도 메르스과 가뭄피해에 따른 일시적 현상"이라며 "내년에는 다시 3%(전망치 3.3%)대 성장률을 나타낼 것으로 예상했다.
금리동결 결정은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이뤄졌다. 지난달 사상 최저수준(1.5%)으로 내린 금리효과를 지켜보자는 판단이 작용했기 때문이다. 정부의 추가경정예산 효과를 지켜보겠다는 의도도 깔려있다. 연내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금리인상에 나설 것으로 예상되는 점도 부담이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