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7/12/20150712100946187405.jpg)
[▲이상철 LG유플러스 부회장]
LG유플러스는 이상철 부회장이 오는 15일부터 중국 상하이에서 개최되는 '모바일월드콩그레스(MWC) 상하이 2015'에서 포스트 롱텀에볼루션(LTE)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한다고 12일 밝혔다.
이 부회장은 16일 오전 ‘5세대(5G)로 가는 길(The Road to 5G)’을 주제로 키노트 스피치를 통해 포스트 LTE 시대에 대한 방향성으로 '미센트릭(Me-Centric)' 을 제안한다.
이 회장은 컴퓨터 및 네트워크의 고도화로 인해 포스트 LTE 시대는 시장 변천 속도가 더욱 빨라질 것이라 전제하고 “30년 동안 컴퓨팅 파워는 100만 배 넘게 커졌다”며 “시간과 장소의 제약이 사라지면서 창조적인 아이디어가 나오는 미센트릭 사회가 됐다”고 진단한다.
이어 그는 “과거 소수의 백만장자만이 누리던 수많은 특권을 이제 5G를 기반으로 일반 대중들의 몫이 될 것”이라며 “이를 위해서는 5G가 반드시 수반돼야 하며 이는 개개인이 중심이 되는 미센트릭 시대의 초석이 돼 우리의 삶을 풍요롭게 만들 것”라고 전망한다.
이번 키노트 스피치를 통해 전세계가 미센트릭 방향성을 대해 공유하고 인식하는 계기가 마련됨에 따라 LG유플러스가 오는 2020년 사물인터넷(IoT) 세계 1등으로 가기 위한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LG유플러스는 이어 행사 기간 세계 최초 음성롱텀에볼루션(VoLTE) 통신사업자간 연동 및 상용화로 세계이동통신사업자협회(GSMA)로부터 공로상을 받으며 관련 노하우를 글로벌 통신사업자들과 공유한다.
GSMA는 LG유플러스가 안정적인 LTE-A 네트워크를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을 상용화해 VoLTE 서비스를 안정적으로 끊김 없이 제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는 한편 세계 최초로 일본 KDDI와 VoLTE 로밍에 성공하는 등 글로벌 VoLTE 기술에 대한 표준을 만들어 가고 있다는 부분을 높이 평가했다. 김선태 부사장(SD본부장)이 수상한다.
이 부회장은 각국의 주요 정부 관계자와 글로벌 기업 최고경영자(CEO)와의 잇따른 만남도 추진, IT 외교 활동을 전개하며 미래 사업 방향도 협의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이 부회장은 미래 핵심 사업의 축인 IoT와 인공지능 그리고 헬스케어 및 커머스 등에 대한 인사이트를 넓히고 관련 업체들과 비즈니스 미팅을 MWC 현장에서 추진한다.
특히 이 부회장은 쇼핑과 마케팅에 고객 위치 행동 인지, 손 또는 손가락 제스처 인식, 2D 카메라로 전신 동작 인식, 단말기 움직임을 기억하며 인증하는 보안, 유전자 검사 등 개인 맞춤형 의료진단 분야를 눈여겨볼 예정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