협동번역사업팀은 지난 2010년 4월 한국고전번역원의 ‘2010년 권역별거점연구소 협동번역사업팀’으로 선정되어 한국문집총간(정편)에 수록된 문집 중 아직 번역되지 않은 남명학파 문집을 번역하고 있다. 협동번역사업팀은 2010년부터 10년간 매년 1억 6000만 원(간접비 포함)을 지원받아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현재 2기 3차 년도 사업 중이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7/13/20150713140511468218.jpg)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남명학연구소 권역별거점연구소 협동번역사업팀이 출간한 번역서와 교감ㆍ표점서.[사진=경상대 제공]
협동번역사업팀은 윤호진 교수를 중심으로 3명의 연구원이 남명학파 문집의 번역과 교감ㆍ표점을 수행하고 있다. 교감은 하나의 작품이나 문건을 여러 판본과 비교하거나 원고를 비교하여 차이를 구명하는 것이고, 표점은 한문 원전을 현대어로 번역할 때 필요한 마침표ㆍ쉼표ㆍ느낌표 등의 문장부호를 한문 원전의 원문에 표기하는 작업이다. 둘 다 원전 번역에 반드시 필요한 작업이다.
협동번역사업팀이 번역 대상으로 하는 경상우도 지역은 현재 행정구역으로는 경상북도 성주ㆍ고령ㆍ김천 등지가 포함된다. 이는 조선시대 낙동강을 중심으로 좌도ㆍ우도의 서로 다른 문화권을 형성했고, 특히 남명 조식과 퇴계 이황 이후로는 그런 문화권이 뚜렷하게 형성되었기 때문이다.
협동번역사업팀은 지난해까지 오건(吳健)의 『덕계집(德溪集)』, 정인홍(鄭仁弘)의 『내암집(來庵集)』, 이로(李魯)의 『송암집(松巖集)』, 성여신(成汝信)의 『부사집(浮査集)』, 박이장(朴而章)의 『용담집(龍潭集)』, 조임도(趙任道)의 『간송집(澗松集)』 등 모두 56권 27책 분량의 문집을 번역하고 교감ㆍ표점하였다. 이들 중 『덕계집』, 『내암집』, 『송암집』 등 번역서 5책을 출간했다.
또한 협동번역사업팀은 최근 '내암집' 표점서 1책과 『부사집』, 『용담집』 번역서 2책, 『부사집ㆍ용담집』 교감ㆍ표점서 1책 등 모두 4책을 출간했다. 뿐만 아니라 올해 안으로 하홍도(河弘度)의 『겸재집(謙齋集)』 12권 6책에 대해 번역과 교감ㆍ표점을 완성하고, 『간송집』 번역서 1책도 출간할 예정이다.
경상대학교 경남문화연구원 남명학연구소 권역별거점연구소 협동번역사업팀은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남명학파의 문집에 대한 번역과 교감ㆍ표점 작업을 수행하여 번역서 및 교감ㆍ표점서를 출간할 계획이다.
한편, 권역별거점연구소 협동번역사업은 전국에 흩어져 있는 문집 등 주요 한문고전의 번역을 서두르고 지방의 한문고전 번역 인재를 양성하기 위해 수월성 거점연구소와 권역별(수도권ㆍ중부권ㆍ영남권ㆍ호남권) 거점연구소(대형ㆍ중형ㆍ소형)를 선정해 해당 지역과 관련 있는 한문고전을 공동으로 연구ㆍ번역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사업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