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ECD가 15일(현지시간) 발표한 '디지털 이코노미 아웃룩 2015' 보고서를 보면, 작년 9월 기준으로 음성·문자·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5개 구간으로 나눠 매긴 국가별 요금 순위에서 한국은 8∼19위를 차지했다.
OECD는 2년마다 회원국의 통신 인프라 전반을 조사해 결과를 발표한다. 이번 조사는 OECD에 가입한 34개 회원국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순위가 앞설수록 요금이 저렴하다는 뜻이다. 2013년 보고서에서는 한국의 요금 순위가 11∼20위였으므로 구간별로 각각 1~8계단 개선됐다.
음성 188분·문자 140건·데이터 500MB 기준의 100통화 구간에서는 8위(16위), 음성 569분·문자 225건·데이터 1GB 기준의 300통화 구간에서는 14위(17위)를 각각 차지했다.
또 음성 1787분·문자 350건·데이터 2GB 기준의 900통화 구간에서 19위(20위), 음성과 문자를 100통화 기준으로 하고 데이터만 2GB로 높인 구간에서 8위(11위)를 각각 기록했다.
일반적으로 30통화는 소량, 100통화는 중량, 300통화는 다량, 900통화는 초다량으로 분류된다.
에스토니아가 전 구간에서 3위 안에 들어 통신요금이 가장 저렴한 국가로 조사됐다. 오스트리아, 덴마크, 영국 등이 최상위권을, 일본, 칠레, 헝가리 등이 최하위권을 차지했다.
국가별 물가와 소득 수준 등을 고려한 구매력 평가(PPP)를 기준으로 할 때 국내 이동통신 요금은 OECD 국가들의 평균 요금에 비해 15.3∼38.8%가량 저렴한 것으로 나타났다.
OECD는 올해 처음 결합상품 요금도 비교했다. 작년 4월 기준으로 초고속 인터넷과 유선 전화, IPTV를 결합한 상품은 한국이 비교 대상 12개국 중 2번째로 요금이 쌌다. 이동전화까지 포함한 상품도 11개국 중 2번째로 저렴했다.
결합상품 요금이 가장 싼 국가는 프랑스였다.
한국통신사업자연합회는 "국내 통신 서비스 품질은 세계 최고 수준이고 요금은 저렴한 수준"이라며 "향후 사용자의 통신비 부담은 더 경감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사물인터넷 규모는 세계 3위 수준이었다. 온라인에 연결된 기기 수가 중국이 8400만대로 가장 많았고, 미국이 7800만대, 한국과 브라질, 독일이 각 1800만대로 뒤를 이었다.
한편 인구 100명당 온라인에 연결된 기기 수로 따지면 한국이 독보적인 세계 1위였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