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글로벌 건강 '톡']모기에 안물리는 비법... "모기는 냄새 맡고 체온으로 먹잇감 고른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7-20 16:4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사진=아주경제DB]

아주경제 권석림 기자 = 똑같은 공간에 여러 사람이 있어도 한 사람만 계속 모기에 물리는 경우가 있다. 모기는 어떤 기준으로 먹잇감을 고를까?

20일(현지시간) 영국 언론에 따르면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 연구진은 학술지 '커런트 바이올로지' 최신호에 발표한 논문에서 모기가 먹잇감을 고르는 3단계 과정을 실험을 통해 증명했다.

연구진은 풍동(wind tunnel) 안에 모기를 넣고 이산화탄소 기둥, 검은 점, 따뜻한 투명 유리판 등 3가지 자극을 가했다. 실험 결과 모기를 유인하는 1차 요인은 잘 알려진 대로 이산화탄소의 냄새였으며, 이어 검은 점과 유리판의 열에 차례로 반응했다.

빈 풍동에 검은 점만 있을 때에는 전혀 관심을 보이지 않다가 이산화탄소도 함께 있어야 비로소 검은 점에 반응하는 식이었다.

이를 통해 모기의 사냥과정을 종합하면 모기는 먼저 10∼50m 밖에서 일단 이산화탄소 냄새를 맡고 몰려온 후 5∼15m 거리까지 접근하면 시각적으로 흥미로운 타깃을 찾는다. 이어 먹잇감에 1m까지 근접하면 체온에 반응해 목표지점을 택한다는 것이다.

그러니까 흔히 덩치가 커서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사람이 모기에 잘 물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덩치 큰 사람 옆에 상대적으로 덩치가 작은 사람이 더 시각적으로 눈에 띄는 옷을 입고 있다면 큰 사람이 내뿜는 이산화탄소 냄새를 맡고 온 모기가 결국 작은 사람을 물 수도 있는 것이다.

논문의 대표저자인 플로리스 반 브뢰겔 박사는 "따라서 모기를 피하려면 내뿜는 이산화탄소를 통제하는 것뿐만 아니라 눈에 띄지 않게 위장까지 해야한다"며 "아울러 함께 있는 친구에게 색 대비가 큰 옷을 입게 하면 모기가 친구를 대신 물 수 있다"고 조언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