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성 사냥꾼' 케플러, '제2의 지구' 발견…나사 “경외감 든다”

지구(왼쪽)와 행성 케플러-452b의 상상도. [사진= 미국 항공우주국(NASA)


아주경제 최서윤 기자 = ‘행성 사냥꾼’ 케플러 망원경이 태양계 밖에서 처음으로 지구와 비슷한 행성을 발견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은 23일(현지시간) “케플러 망원경이 항성 ‘케플러-452’와 그 주변을 공전하는 행성 ‘케플러-452b’를 발견했다”며 “지금까지 발견된 외계 행성 중 크기와 궤도 등 특성이 지구와 가장 비슷해 ‘지구 2.0’의 유력한 후보로 꼽힌다”고 발표했다.

백조자리에 있는 항성 케플러-452는 분광형(spectral type)으로 볼 때 태양과 같은 ‘G2’형이다. 온도는 태양과 비슷하고 지름은 10% 더 크고 밝기는 20% 더 밝다. 이 항성의 나이는 60억년으로 우리 태양(45억년)보다 15억년 더 오래됐다.

케플러-452 주변을 도는 행성 케플러-452b는 지름이 지구의 1.6배이며, 지구에서 1400광년(1경3254조km) 떨어져 있다. 공전 궤도는 생명이 존재할 가능성이 있는 범위 내에 있다. ‘거주 가능 구역’은 물이 표면에 존재할 수 있는 영역을 말한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며 지구 크기와 비슷한 외계 행성이 발견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케플러-452b의 공전주기는 385일로 지구보다 약 5% 길고, 이 행성과 그 모항성 케플러-452의 거리는 지구-태양 간의 거리보다 5% 멀다.

이 행성의 질량과 화학적 조성은 아직 밝혀지지 않았으나 과거 연구 경험으로 보면 이 정도 크기의 행성은 지구와 마찬가지로 바위로 돼 있을 개연성이 상당히 있다.
 

지금까지 발견된 '거주 가능 구역' 행성들. 왼쪽부터 케플러-22b, 케플러-69c, 케플러-452b, 케플러-62f, 케플러-186f, 지구 [사진= 미국 항공우주국(NASA)]


케플러-452b의 발견을 계기로 지금까지 확인된 행성의 수는 1030개로 늘었다. 이전까지 케플러 망원경이 발견한 총 행성 후보군은 4175개며 이번에 521개 행성 후보군을 추가했다. 이 중 크기와 온도가 우리 태양과 비슷한 항성의 주변을 도는 것은 케플러-452b를 포함해 9개다.

NASA 과학 미션국 부국장 존 그런스펠드는 “다른 항성들이 행성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발견한 지 20년이 되는 해에 우리 태양을 가장 닮은 행성과 항성을 발견했다”며 “이 흥분되는 결과는 우리가 지구 2.0을 찾는 데 한 걸음 더 다가가도록 해 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케플러 망원경의 데이터 분석을 담당하는 NASA 에이미스 연구소의 존 젠킨스는 “케플러-452b는 지구보다 나이가 많고 몸집이 큰 사촌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며 “이 행성이 지구의 진화하는 환경을 이해하고 성찰하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 행성이 ‘거주 가능 구역’에서 60억년을 보냈다고 생각하면 경외감이 든다”며 “만약 이 행성에 생명이 존재하는 데 필요한 성분들과 조건들이 모두 있었다면 생명이 발생하기 위한 상당한 기회가 있었다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댓글0
0 / 300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