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있음과 없음’은 서로 다른 작업을 하는 두 작가의 공통 관심사를 포괄한다는 뜻이다.

[니트 디자이너 김수미]
김미수는 이번 전시를 통해 오랜 타향 생활에서 자문해 온 ‘정착과 안정’에 대해 이야기한다. 작가는 실제 자신의 사적인 주거공간이자 ‘안정적 장소’인 소파가 있는 거실, 창이 있는 복도, 카펫이 깔린 주방 등을 전시장으로 옮겨와, 작가의 주요 소재인 니트로 덧입혀 제작한 30여 점의 가구와 사물들을 재구성한다. 관객 스스로 물리적, 심리적 안정의 순간을 경험하게 하는 동시에 ‘안정적 장소’의 ‘있음과 없음’에 대해 자문하도록 한다.

[애니메이션 아티스트 김영준]
김영준은 분주한 삶 속에서 무심코 지나쳐버리는 ‘것’들에 대한 자상한 관심을 드러낸다. 작가는 주변의 장소인 길, 공원, 자연에서 아무도 모르게 소멸해버리는 ‘미물들’의 존재와 그들이 지닌 아름다움의 가치를 조명하고, 우리를 둘러싼 ‘삶’과 ‘죽음’이 서로 분리되지 않는 동시다발적이고 일상적인 현상임을 담담한 애니메이션 영상으로 표현한다. 이번 전시에서 작가는 새롭게 선보이는 신작 설치영상 5점과 다수의 그림이미지를 통해 관객 스스로가 평범하고 익숙하여 지나쳐 버리는 주변의 ‘것’들의 존재를 일깨우도록 한다.
한 공간에서 들려주는 '있음과 없음'에 대한 두 작가의 이야기'는 익숙한 것들을 새롭게 바라보는 각자의 방식을 통해 반대적인 의미를 가진 두 단어가 하나의 개념으로 확장되는 이색적인 경험을 선사한다. 전시는 8월 23일까지. 02-796-8166.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