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서울 전자상거래피해 인터넷쇼핑몰>오픈마켓>소셜마케팅 순 많아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7-30 10:56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소비자상담 현황. 표=서울시 제공]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올해 상반기 전자상거래 소비자 피해가 전년 대비 7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올해 1~6월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 접수된 소비자 피해상담을 분석한 결과, 총 1만522건으로 전년도 동기(6118건)에 비해 72% 증가했다고 30일 밝혔다.

구매유형을 살펴보면 일반 인터넷쇼핑몰 피해가 5205건(49.5%)으로 가장 많았다. 작년 상반기 476건(7.8%)에 그쳤던 해외거래 관련 피해는 올해 3898건(37.0%)으로 약 8.2배 늘었다. 그 다음으로 오픈마켓 607건(5.8%), 소셜마케팅 178건(1.7%), 인터넷 공동구매 156건(1.5%)이었다.

해외거래의 경우, 쇼핑몰 특성상 거래조건이 다양하고 청약 철회 등의 방법이 국내와 달라 소비자 피해 사례가 크게 는 것으로 분석됐다. 세부적으로 구매대행 3841건(98.54%)으로 다수였고 이외 배송대행 29건(0.74%), 직접구매 28건(0.72%)가 포함됐다.

유형을 보면 계약취소에 따른 반품·환급거절 5054건(48.0%), 배송지연 3374건(32.1%), 운영중단·폐쇄 등으로 인한 연락불가 728건(6.9%), 제품불량 및 하자 567건(5.4%) 등이었다.

품목은 의류·속옷 5123건(48.7%)에, 신발·가방 등 잡화 및 귀금속 2691건(25.6%)으로 패션 관련 품목이 70% 이상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유아동·완구 3.6%(374건), 가구·주방 잡화 3.2%(332건)였다.

피해 연령대는 30대 4210건(40.0%), 20대 4200건(39.9%), 40대 1323건(12.6%), 10가 480건(4.6%)으로 집계됐다. 특히 해외거래 주 소비자층인 10대(93.5%)와 20대(82.2%)의 피해 증가율이 컸다.

장영민 서울시 민생경제과장은 "해외구매가 급증하면서 피해 또한 늘었는데 인터넷쇼핑몰 이용시 관련 규정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며 "계좌이체보다 신용카드나 에스크로 등 구매안전서비스를 이용해 결제하는 것이 피해구제에 용이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