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7/30/20150730100707499033.jpg)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 소비자상담 현황. 표=서울시 제공]
아주경제 강승훈 기자 = 올해 상반기 전자상거래 소비자 피해가 전년 대비 72%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서울시는 올해 1~6월 서울시전자상거래센터에 접수된 소비자 피해상담을 분석한 결과, 총 1만522건으로 전년도 동기(6118건)에 비해 72% 증가했다고 30일 밝혔다.
구매유형을 살펴보면 일반 인터넷쇼핑몰 피해가 5205건(49.5%)으로 가장 많았다. 작년 상반기 476건(7.8%)에 그쳤던 해외거래 관련 피해는 올해 3898건(37.0%)으로 약 8.2배 늘었다. 그 다음으로 오픈마켓 607건(5.8%), 소셜마케팅 178건(1.7%), 인터넷 공동구매 156건(1.5%)이었다.
해외거래의 경우, 쇼핑몰 특성상 거래조건이 다양하고 청약 철회 등의 방법이 국내와 달라 소비자 피해 사례가 크게 는 것으로 분석됐다. 세부적으로 구매대행 3841건(98.54%)으로 다수였고 이외 배송대행 29건(0.74%), 직접구매 28건(0.72%)가 포함됐다.
유형을 보면 계약취소에 따른 반품·환급거절 5054건(48.0%), 배송지연 3374건(32.1%), 운영중단·폐쇄 등으로 인한 연락불가 728건(6.9%), 제품불량 및 하자 567건(5.4%) 등이었다.
품목은 의류·속옷 5123건(48.7%)에, 신발·가방 등 잡화 및 귀금속 2691건(25.6%)으로 패션 관련 품목이 70% 이상을 차지했다. 다음으로 유아동·완구 3.6%(374건), 가구·주방 잡화 3.2%(332건)였다.
피해 연령대는 30대 4210건(40.0%), 20대 4200건(39.9%), 40대 1323건(12.6%), 10가 480건(4.6%)으로 집계됐다. 특히 해외거래 주 소비자층인 10대(93.5%)와 20대(82.2%)의 피해 증가율이 컸다.
장영민 서울시 민생경제과장은 "해외구매가 급증하면서 피해 또한 늘었는데 인터넷쇼핑몰 이용시 관련 규정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며 "계좌이체보다 신용카드나 에스크로 등 구매안전서비스를 이용해 결제하는 것이 피해구제에 용이할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