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김현철 기자 = 형제의 난을 겪고 있는 롯데그룹의 전근대적인 경영행태가 비난을 받고 있다.
실제로 신동주·동빈 형제 간의 갈등을 계기로 불투명한 기업 지배구조, 창업주의 독단적인 황제경영, 경영권을 둘러싸고 빚어지고 있는 부자·형제·친족 간 진흙탕 싸움 등 그 민낯이 여지없이 드러나고 있다.
이에 따라 연매출 83조원에 임직원 10만명, 80여개의 계열사를 갖고 있는 대기업이라고 생각되지 않을 정도의 후진적 경영이라는 비판이 나온다.
롯데그룹의 기업 지배구조는 아직까지도 베일에 가려져 있다.
특히 지배구조의 정점인 일본 롯데홀딩스 뿐 아니라 이 회사의 최대주주인 광윤사(고준샤:光潤社)의 지분구조는 전혀 파악되지 않고 있다.
한국 롯데의 지주사인 호텔롯데는 2013년 공모사채 발행을 추진했다가 금융당국이 일본쪽 지배구조 자료 제출을 요청하자 전면 취소하기도 했다.
신격호 롯데그룹 총괄회장 일가는 낮은 지분율에도 불구하고 얽히고 설킨 400여개의 순환출자로 계열사를 거느리며 황제경영을 해왔다.
공정거래위원회에 따르면 6월 말 현재 신 총괄회장은 전체 그룹 주식의 0.05%만 갖고 있다. 신동빈 롯데그룹 회장 등 일가의 보유주식을 모두 합쳐도 지분율이 2.41%에 불과하다.
이런 상황에서 신 총괄회장의 밀실 경영 문제점은 그대로 드러났다.
그는 지난달 27일 일본 롯데홀딩스 본사에서 주요 임직원 10여명을 불러 모아 신동빈 회장을 비롯한 6명의 이름을 가리키며 해임하라는 지시를 내렸다.
일반적으로 등기임원이사를 해임하기 위해서는 이사회 절차가 필요하다. 하지만 신 총괄회장이 이같은 행동을 한 것은 그동안 롯데그룹의 인사가 법적 절차와는 관계없이 진행됐다는 것을 방증한다.
일본 뿐만 아니라 한국 롯데그룹에서도 신 총괄회장의 해임지시서가 법적 절차보다 우선시된다는 사실도 입증됐다.
신 총괄회장은 이사회를 거치지 않고 지시서 한장으로 신동빈 회장, 황각규 롯데그룹 정책본부 운영실장(사장), 이인원 롯데그룹정책본부 부회장 등 3명을 해임한 것으로 알려졌다.
롯데그룹의 폐쇄식 경영은 재계뿐만 아니라 증권가에서 회자될 정도로 유명하다.
실제 2006년 롯데쇼핑을 상장하기 위해 신동빈 회장이 보고했을 때에도 신 총괄회장은 내켜 하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이처럼 기업공개를 싫어하는 신 총괄회장의 경영방식 때문에 2013년 기준 일본 롯데그룹 계열사 37곳 가운데 상장된 기업은 단 한곳도 없다.
반면 신동빈 회장이 경영해온 한국 롯데그룹에는 상장 계열사가 9개 있다.
기업경영 평가사이트인 CEO스코어 박주근 대표는 "국내 대기업집단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투명하고 보다 합리적인 경영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