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품질검사는 감초 등 다소비 품목을 대상으로 실시했으며, 검사결과 중금속, 잔류농약, 곰팡이독소 및 이산화황 검사는 대부분 불검출이거나 기준 이내로 검출됐고, 지표성분의 함량도 기준에 적합한 것으로 조사됐다.
중금속과 잔류농약은 오염된 토양에서의 재배 또는 무분별한 농약 사용 등 재배과정에서 오염되고, 곰팡이독소와 이산화황은 약재로 만드는 과정에서 생길 수 있다.
곰팡이독소는 한약재를 곰팡이가 서식하기 쉬운 고온 다습한 환경에 보관할 경우 검출될 수 있는데, 습기를 쉽게 빨아들이고, 당도가 높으며, 전분이 풍부할 경우 생기기 쉽다.
한편, 인천보건환경연구원은 식품의약품안전처의 <의약품 등 제조·유통관리 계획>에 따라 매년 60건의 유통 한약재 품질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8/03/20150803102411912621.jpg)
HPLC를 이용한 함량시험[사진제공=인천시]
인천보건환경연구원 관계자는 “작년에 이어 올해에도 부적합 품목이 없는 것으로 조사돼 인천지역에서 유통 중인 한약재는 안심하고 복용해도 될 것으로 보인다.”며, “앞으로도 안전한 한약재가 유통될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품질관리를 실시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