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그룹은 5일 청년들의 창업과 취업경쟁력 확보를 방향으로 일자리 프로그램을 기획, 내년부터 2년동안 시행키로 했다고 밝혔다.
SK그룹은 우선 전국의 청년들이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 사회적기업에 취업할 수 있도록 6개월간의 인턴십 제공 방식의 맞춤형 직무능력 개발 프로그램인 ‘SK 고용 디딤돌 프로그램’을 시행, 중소기업과 청년 취업간의 선순환 구조를 마련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2016년부터 매년 취업을 원하는 청년 2000명씩 모두 4000명을 대상으로 직무교육과 인턴십을 통해 분야별 전문인력을 양성한다.
또한 SK그룹과 대학이 공동으로 창업지원센터를 설립, 창업 교육을 담당하는 ‘청년 비상 프로그램’을 통해 2년 동안 2만명을 교육시키고, 이 중 우수한 인재들은 미국 실리콘밸리에서 창업할 수 있도록 지원키로 했다.
특히 창업지원센터는 6개월간 운영을 통해 1만명의 교육생 가운데 한 개팀이 최대 5명으로 구성된 20개 창업팀 100명을 매년 선발, 대전창조경제혁신센터 드림벤처스타와 SK의 브라보 리스타트를 통해 인큐베이팅에 나설 예정이다.
SK그룹은 나아가 정부에서 구축·운영중인 KIC(Korea Innovation Center)와 공동으로 실리콘밸리에 SK창조경제혁신센터를 설립, 창업 교육 및 공동 글로벌 창업프로그램을 운영한다.
SK는 이 같은 프로그램이 재계와 국가적인 차원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조속한 시일내에 성공모델을 만들어 공유하는 한편, 관련 단체 등과도 공조키로 했다.
한 중소기업 대표는 “그 동안 청년들은 대기업에 편향된 구직활동을 하다 보니 우수한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이 있다는 사실을 몰랐고,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도 청년 인재들을 뽑을 의지를 보이지 않았다”며 “그러나 이 같은 디딤돌 프로그램은 우수한 인재들도 중소기업을 택하고, 중소기업도 우수 인재를 채용하게 되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앞서 한화그룹은 올해 하반기에 고용 창출 규모를 상반기 규모의 2배 가까이 확대하는 등 2017년까지 총 1만7569명에 이르는 대규모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키로 했다.
당장 하반기 예정돼 있던 4232명의 채용계획보다 1497명을 더 늘려 올해 남은 기간 동안 5729명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한다. 이는 상반기 채용인원인 2958명보다 약 2배 늘어난 규모다.
한화그룹은 또 최근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청년 실업문제가 단기간에 해결될 문제가 아니라는 판단 아래 이같은 청년 일자리 확대 정책을 2017년까지 이어가기로 했다.
이에 따라 2016년에는 5140명 규모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할 예정이다. 충청북도 음성과 진천에 가동하는 태양광 공장에 대한 투자를 확대해 채용 인력을 대폭 확대하며, 대학교 3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주니어 인턴제도를 도입해 300명의 대학생들을 채용한다.
2017년에도 지속적으로 확대해 6700명 규모의 청년 일자리를 창출한다. 1조원 이상을 투자해 거제도 등의 사업예정지에서 2018년까지 완료 예정인 대규모 복합 리조트 개발사업을 1년 앞당겨 2017년에 조기 마무리, 이 지역들에서만 1400여 명의 신규 일자리 창출이 가능해진다.
정부는 최근 2017년까지 총 20만개 이상의 일자리 기회를 만든다는 청년고용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근로자 수가 증가한 기업에는 세액 공제 혜택도 주기로 했다.
이에 삼성그룹과 현대차 등 재계도 정부 대책에 적극 동참하는 분위기다. 삼성은 일자리 창출에 더욱 적극 나설 계획이며, 현대차는 지난해 9100여명에서 올해 9500여명까지 고용을 확대한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