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행정자치부에 따르면 지난해 정부가 수여한 훈장은 2만1669건으로 2013년보다 59%인 8068건이 급증해 1999년 2만2526건 이후 최대 규모로 이 중 퇴직공무원 근정훈장이 85.6%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무원 퇴직포상인 근정훈장은 지난해 1만8548건으로 전년 1만680건 대비 7868건 늘었다.
이는 정년연장의 여파로 전년보다 퇴직자가 늘고 공무원연금 개혁 과정에서 명예퇴직 바람이 불었기 때문이다.
국민훈장, 무공훈장, 산업훈장, 산업훈장, 체육훈장 등 11개 훈장은 전년대비 200건 증가했을 뿐이다.
공무원은 금품수수 등 비리로 처벌받지 않고 25년 이상 근무한 후 퇴직하면 재직 기간에 따라 포상으로 국무총리표창∼훈장을 받는다.
33년 이상 일한 후 퇴직한 모든 공무원에게 퇴직 당시 직위에 따라 옥조·녹조·홍조·황조·청조훈장을 수여한다.
공무원 격려를 위해 이같은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수여 훈장의 대부분을 퇴직공무원이 가져가면서 훈장 가치를 떨어뜨릴 수 있다는 비판이 나올 수 있다.
행자부는 이같은 지적에 국민추천 포상을 활성화하고 근정훈장 자격도 더 까다롭게 하는 등 일반 국민 수훈자를 확대하려고 노력하고 있지만 교사 은퇴 등으로 당분간 근정훈장의 비중이 높을 수밖에 없는 구조라고 보고 근본적으로 근정훈장 제도를 개편해야 할지 검토한다는 방침이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