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 금융권에 따르면 현재 1사1교 금융교육에 참여를 신청한 금융회사 중 은행은 총 4250개 점포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KB국민은행 1016개 △우리은행 862개 △신한은행 757개 △하나·외환은행 540개 점포 등 전국 대부분 점포에서 신청했다.
1사1교 금융교육은 조기 교육으로 금융지수를 높이고 무형의 인프라를 배양하기 위한 목적으로 금감원이 올해부터 추진하는 프로그램이다.
시중은행들이 이처럼 금융교육 신청에 매달리는 이유에 대해 한 금융권 관계자는 “장기적인 측면에서 은행 브랜드 노출 효과를 노리는 동시에 금융당국의 평가를 의식한 부분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 같다”며 “당국이 일종의 당근과 채찍을 적절히 조합해 금융교육 참여를 자연스럽게 유도하고 있다”고 말했다.
최근 저금리, 저성장 기조로 순이자마진(NIM)이 낮아지면서 은행들은 장기 고객 유치를 위해 고심 중이다. 지난 6월 100억원이 넘는 초기 투자비용에도 불구하고 치열한 경쟁을 펼쳤던 ‘나라사랑카드’ 입찰 사례만 봐도 장기 마케팅전략에 대한 은행권의 절실함을 엿볼 수 있다.
한편으로는 내년부터 시행되는 금융소비자보호 실태평가제도의 영향도 크다는 분석이다. 단순히 민원 건수로 금융사의 등급을 매겼던 기존 방식과 달리 새로 도입되는 제도는 비계량항목에서 금융소비자보호를 위한 조치 등을 평가 요소로 삼고 있기 때문이다.
금감원 관계자는 “1사1교만을 특정해 평가에 반영하는 것은 아니지만 금융교육이 소비자들을 보호하기 위한 노력 중 하나로 참작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추진 일정이 너무 촉박하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이달에 접수를 마감하고 다음달 초 교육을 시작하는 일정상 금융회사와 학교 모두 각자의 상황을 온전히 파악하지도 못한 채 진행될 수도 있다”며 “장기적인 측면에서 교과목에 반영될 학교 금융교육과의 연계 과정도 고려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금감원 관계자는 “금융교육이 다음달부터 추진된다고 해서 당장 모든 학교가 동시에 교육을 시작하는 것은 아니다”라며 “일단 신청접수 마감 후 2학기 시작과 함께 교육을 진행하면서 현장의 목소리를 반영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은 여름방학으로 인해 일선 학교의 접수가 지연된 부분을 감안해 접수 기간을 이달 말까지 연장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이 경우 다음달부터 순차적으로 일선 학교와 협의를 통해 교육이 시작될 것으로 예상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