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image.ajunews.com/content/image/2015/08/24/20150824074813744763.jpg)
[사진=아주경제 DB]
아주경제 정영일 기자 = 한 해 폐렴으로 사망하는 사람이 1만명을 넘기면서 우리나라 전체 사망원인 중 6위를 차지했다. 이런 증가세는 다른 사망원인들보다 빠른 것이다.
전문가들은 폐렴에 걸렸을 때 중증으로 진행할 수 있는 고위험군은 국가예방접종사업에서 무료로 접종할 수 있는 백신과 함께 유료 폐렴구균 백신을 접종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한다.
24일 통계청이 지난해 발표한 '2013년 사망원인 통계'에 따르면 2013년 폐렴으로 인한 사망자 수는 1만809명으로, 전체 사망원인 중 6위로 나타났다고 연합뉴스가 전했다.
이는 2003년 12위에서 10년만에 6계단이나 상승한 것이다. 이 기간 폐렴으로 인한 사망자 수도 2.8배나 증가했다.
폐렴을 일으키는 가장 흔한 원인균은 폐렴구균이다. 폐렴구균은 환자의 침방울이나 콧물 등으로 감염되는데 매년 11월∼이듬해 4월까지 감염자가 많이 발생한다.
특히 고령자가 폐렴구균에 감염되면 폐렴은 물론이고 부비동염, 중이염, 수막염, 패혈증 등 심각한 질환으로 진행할 수 있어 예방이 중요하다.
현재 국내에서 접종할 수 있는 폐렴구균 백신은 2가지다. 첫째는 65세 이상 노인이 보건소에서 무료로 접종할 수 있는 '23가 다당질백신'이다.
정부는 2013년 5월부터 이 백신을 국가예방접종사업에 포함해 노인들에게 무료로 제공해왔다. 2014년 11월 현재, 대상자의 66.4%가 이 백신을 접종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른 하나는 지난 2012년 출시된 '13가 단백접합백신'이다.
이 백신은 국가예방접종사업에 포함돼 있지 않아 10만원 이상의 접종비를 내고 유료로 맞아야 한다.
전문가들은 고위험군의 경우 폐렴 예방 효과가 뛰어난 신형 백신을 맞는 것이 안전하다고 입을 모았다. 새 백신의 예방 효과가 더 뛰어난 것으로 밝혀지고 있기 때문이다.
당뇨병, 천식 등 만성성질환자, 무비증환자, 면역저하자 등은 폐렴구균의 고위험군에 속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