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지난 2년간 1.25%포인트 낮아졌지만 시중은행들은 가산금리 유지로 일정 수준의 이윤을 유지해왔다. 대출 기준금리 하락에 따른 예대마진 손실을 채우기 위해 고객들에게 책임을 떠넘겼다는 분석이다.
30일 금융권에 따르면 주택담보대출을 취급하는 국내 17개 시중·지방은행의 지난달 주택담보대출(만기 10년 이상 분할상환식) 평균금리는 2.98%다.
이 가운데 은행 기준금리는 1.85%, 가산금리는 1.13%로, 가산금리 비중이 전체 대출 평균금리의 38%에 육박한다.
2년 전인 지난 2013년 7월과 비교하면 가산금리 비중이 14.2%포인트 증가했다.
당시 주택담보 대출 평균금리는 3.82%이고, 이 가운데 기준금리가 2.91%로 전체 대출 평균금리 비중의 76.2%를 차지했다. 가산금리는 0.91%로 23.8% 비중이었다.
은행의 대출금리는 한은 기준금리에 조달금리를 더해 은행 기준금리, 여기에 고객들의 신용도를 토대로 한 가산금리를 합쳐서 정해진다.
KB국민, 신한 등 5대 시중은행의 가산금리 비중은 15.6%포인트, 씨티와 SC 등 외국계은행의 비중도 14.6%포인트 상승해 그 뒤를 이었다.
농협과 수협 등 특수은행의 가산금리 비중은 7.9%포인트 올라 상승률이 가장 낮았다.
은행들이 가산금리를 올린 이유는 은행의 핵심 이익인 이자이익이 줄어들면서 은행들이 그 손실을 손쉽게 메우려 하기 때문이라는 분석이다.
5대 시중은행의 올해 상반기 순이자이익은 8조8851억원으로 작년 동기(9조829억원)와 견줘 2.17%(1978억원) 감소했다.
시중은행의 한 관계자는 “순이자마진 하락으로 은행 수익성이 떨어진데다 저성장과 가계부채 증가 등으로 개인 부실 가능성마저 큰 상황”이라며 “이렇게 대내외적으로 경제환경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가산금리까지 낮추면 은행의 부실이 커질 수 있다”고 말했다.
이에 조남희 금융소비자연맹 회장은 “우리나라는 불경기든 호경기든 은행이 목표수익률을 달성할 수 있는 구조”라며 “가산금리를 올리는 건 목표수익률을 달성하는 전략의 하나”라고 지적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