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희스타힐스

혁신도시 이전 후 속앓이하는 공공기관들

기자정보, 기사등록일
입력 2015-09-01 16:02
    도구모음
  • 글자크기 설정
  • 지자체, 석유공사 수영장 운영 비용 부담 떠넘기기...9개월 넘게 방치


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공공기관 지방 이전과 관련해 각종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유치에 열을 올리던 혁신도시 지방자치단체들이 태도를 바꾸면서 새 둥지 적응에 어려움을 겪는 이전기관들이 속속 생겨나고 있다.

1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올해 8월 말 기준 혁신도시 이전 대상 공공기관 115개 중 86개(75%)가 이전하고, 3만6명의 공공기관 직원이 이주했다. 혁신도시는 수도권과 세종·충남을 제외한 전국 10개 광역시·도에 1개씩 건설 중이다.

이 가운데 지난해 11월 울산으로 이전한 한국석유공사의 경우 지역주민들을 위한 복지시설 문제를 놓고 울산시 중구와 갈등을 빚고 있다. 당초 중구에서는 이전 조건과 관련해 석유공사가 주민을 위한 문화시설인 수영장과 테니스장을 설치하면 운영을 맡기로 약속했다.

석유공사는 지하 1층에는 8개 레인의 수영장을, 옥상에는 테니스장을 갖춘 부대시설을 신사옥 내 부지에 지었다. 50억원이 넘는 비용이 투입됐다. 그러나 완공 이후 구에서 운영까지 맡을 것을 요구하면서 개방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운영권 갈등은 시설 유지·보수 및 각종 피해 예방 등에 드는 예산이 연간 수 억원에 이르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결국 공사가 울산혁신도시로 이전한 지 9개월이 지났지만 주민들은 개방 날짜만을 기다리고 있는 실정이다. 현재 양측은 전문 관리 업체에 위탁을 맡겨 운영하는 방식을 논의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또 일부 공공기관은 사옥 내 도서관 등 직원 복지 차원에서 만든 시설에 대한 개방이 요구돼 곤란한 상황이다. 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도서관에는 업무와 관련된 문서들도 있고 무엇보다 사내 시설 이용은 출입 통제가 어려워 보안상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며 "하지만 개방을 하지 않으면 지역사회 발전에 기여를 하지 않는 것처럼 보여져 난감할 따름"이라고 전했다.

지역인재 채용과 관련해서는 '역차별'이란 반응도 나온다. 공공기관이 서울·수도권에 있었을 때 서울지역 인재 채용 비율을 따로 할당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또 실제 서류전형부터 면접까지의 과정에서 지역인재 채용 비율을 맞추기가 어려운 경우도 더러 있다는 설명이다. 이전기관이 위치한 광역시·도 소재 지방대학 졸업자와 졸업예정자를 채용하는 이전지역 인재 채용률은 2012년 2.8%에서 지난달 말 기준 11.9%로 늘었다.

올 상반기 이전을 완료한 한 공공기관 관계자는 "아직 적응 초기 단계로 지자체와 마찰이 생길 만한 일이 발생하지는 않았지만 유치 이후 돌변한 지자체의 텃새와 관련한 이야기들을 접하고 있다"며 "우리가 겪는 지방 이전에 따른 고충을 매도하는 시선이 많아 걱정"이라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컴패션_PC
0개의 댓글
0 / 300

로그인 후 댓글작성이 가능합니다.
로그인 하시겠습니까?

닫기

댓글을 삭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이미 참여하셨습니다.

닫기

이미 신고 접수한 게시물입니다.

닫기
신고사유
0 / 100
닫기

신고접수가 완료되었습니다. 담당자가 확인후 신속히 처리하도록 하겠습니다.

닫기

차단해제 하시겠습니까?

닫기

사용자 차단 시 현재 사용자의 게시물을 보실 수 없습니다.

닫기
실시간 인기
기사 이미지 확대 보기
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