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서 별다른 성과없이 종료했던 정개특위가 지난 1일 본회의 의결로 재구성돼 2기 활동을 시작한 이후 처음 열리는 회의란 점에서 그간 여야가 '평행선'을 달려온 '선거 룰' 협상에 해법이 마련될 지 주목된다.

국회 정치개혁특별위원회(위원장 이병석)는 7일 공직선거법심사소위를 열어 내년 20대 총선에 적용할 국회의원 선거구 획정기준 및 공천·선거제도에 대한 논의를 재개한다. 사진은 이병석 정치개혁특별위원장[사진=유대길 기자 dbeorlf123@]
이날 공직선거법심사소위에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와 석패율제,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 선거구 획정기준, 의원정수 및 지역구·비례대표 의석 비율 등 선거제도 개혁 및 선거구획정을 둘러싼 핵심 쟁점들이 두루 논의될 예정이다.
여야는 국정감사가 시작되는 오는 10일 전까지 적어도 선거구 확정기준만큼은 합의를 도출키로 했지만, 지역구·비례대표 의석 비율을 놓고 입장 차가 워낙 커서 합의 도출이 쉽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이다.
이에 따라 이날 소위에서도 결론이 나지 않으면 여야 지도부가 '교통정리'에 나서기 위해 담판 회동을 가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다만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오픈프라이머리 도입에, 새정치민주연합 문재인 대표는 권역별 비례대표제 도입에 각각 비중을 두고 있어 양당 지도부 회동이 성사되더라도 최종 접점을 찾기는 쉽지 않을 전망이다.
한편 중앙선관위 산하 독립기구인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이번 주에 인구수 미달로 지역구 통폐합이 거론되는 농어촌 선거구 지역 등을 순회 방문하며 현장 의견을 수렴키로 했으며, 이날 첫 번째 일정으로 경북 지역을 방문한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