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경제 노경조 기자 = 혁신도시로 이주한 공공기관 직원 10명 중 6명은 가족을 서울에 남겨두고 '나홀로' 이주했거나 원 거주지에서 장거리 출퇴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1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강석호 의원이 국토교통부로부터 제출받은 '공공기관 혁신도시 이전에 따른 지역별 가족동반 이주 현황'에 따르면 올해 4월 현재 혁신도시 이전 대상 직원 2만3438명 중 가족과 함께 이주한 직원은 미혼·독신자를 제외하고 전체의 32.7%에 불과했다.
혁신도시에서 가족과 떨어져 홀로 사는 직원이 61.5%(1만1005명), 원 주거지나 혁신도시 인근에서 출퇴근하는 사람은 5.8%(1040명)으로 집계됐다. 지역별로는 충북의 단신 이주·출퇴근 비율이 81.2%로 가장 높았고 경남(77%), 강원(76.1%), 경북(72.9%)이 뒤를 이었다. 제주지역은 가족 동반 이주율이 54.9%로 전국 최상위를 기록했고 전북(47.3%), 부산(45.2%)등도 높았다.
혁신도시 이전기관별로는 충북에 있는 법무연수원의 단신 이주·출퇴근 비율이 91.3%로 기러기 가족이 많았다. 경북의 조달품질원(90.7%), 부산 국립수산물품질관리원(89.5%), 경북 교통안전공단(89.1%), 충북 한국가스안전공사(89%) 등도 높은 비율을 나타냈다.
울산의 고용부고객상담센터는 가족 동반 이주율이 98%로 가장 높았고, 부산의 게임물관리위원회(83%), 영상물등급위원회(65.2%) 등이 뒤를 이었다.
문제는 이주 직원들에 대한 마땅한 정주대책이 아직 없는 데다 기러기 가족만 양산할 경우 혁신도시의 주말 공동화 현상을 부채질할 수 있다는 것이다.
강 의원은 "부산의 가족동반 이주율이 높은 것은 특별분양 단지가 남구 문현동, 해운대 우동처럼 좋은 학군내에 있는 등 교육·의료·문화여건이 좋기 때문"이라며 "대구·울산·광주 혁신도시는 원도심에서 비교적 가깝기 때문에 지자체와 함께 노력하면 가족 동반 이주율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고 말했다.
©'5개국어 글로벌 경제신문' 아주경제. 무단전재·재배포 금지